조선 왕 독살사건 - 조선 왕 독살설을 둘러싼 수많은 의혹과 수수께끼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덕일씨가 쓴 책 중에 '사도세자의 고백' 이라는 책을 본 적이 있다.

그 책이 장편이라면 이 책은 단편집이다.  사도세자의 고백은 효종까지 거슬러 올라가

그 때의 왕실 상황과 당쟁 상황등 당시의 정황을 설명하며 사도세자가 어떤 배경으로

어떻게 고립되며 죽어갔는가를 써 놓았다. '조선 왕 독살사건'은 소현세자와 7명의 왕.

8명의 독살설에 대해 그 시대 정황과 독살설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 놓았다.

'다투는 것은 신하가 하는 것이고 그 판결은 왕이 내린다.' 하지만 조선 후기 상황은 그렇지

않았다. 왕은 한 나라의 모든 신하의 왕이 아니었다. 당수였을 뿐이다. 왕도 당이 선택하고

그 왕을 선택하지 않은 다른 당은 왕을 독살시켜 버리고 자신들이 정한 왕을 옹립한다.

그리고 나면 또다시 반대파가 그 왕을 제거하려 하고 또다시 자신들의 왕을 세우고..

이런 반복으로 조선시대엔 독살설이 끊이질 않았다. 왕이든 정승이든 뜻 있는 사람, 혹은

사심없이 나라를 위해 일하고 싶은 사람이 해야하지 싶다. 그렇게 강직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한평생 살아가며 순간순간 흔들릴 수도 있겠는데 처음부터 작심하고 자신의 안위, 자기 가문의

영광을 위해 조정에 뛰어든 자들이 나라를 운영하니 잡음이 많을 수 밖에 없겠고 나라와 백성을

생각하기에 앞서 자신들의 잇속 챙기기에만 바빴다. 아니다. 한사람 한사람 그 자체는 덕망있고

학식있는 선비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들이 당으로 뭉쳤을 때, 그리고 당쟁으로 상대 당을

대할 때, 그들에겐 선비의 모습은 온데 간데 없어지고 빌어먹고 사는 이들보다 못한 짓거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글세다, 그게, 사대부라는 자만심이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사대부, 라는 자만심에 왕도 자신들이 정할 수 있고 이 나라도 왕의 나라, 백성의 나라가 아니라

사대부들의 나라이며 왕은 그 사대부 중 으뜸가는 사람일 뿐이라는 그들의 생각.

신분에 대한 지나친 자만심. 후,,하긴 그 시대엔 그게 당연했으니 이제와 그걸 탓할 수만도

없다는 생각이다. 지금이야 평등 사상이 만연하니 어쩌구 저쩌구 하지, 그 시대엔 천민들도

자신들이 알아서 천민임을 알고 알아서 천민으로서의 처신을 했으니..

그냥 역사인 뿐인걸까. 모든 왕조, 모든 역사엔 '창업기-성장기-발전기-쇠퇴기-소멸기'라는 게

있으니. 그냥 그 시대 사대부들의 현실안주와 외세의 개입으로 자체적으로 새로운 나라를

창업하지 못한 게 안타깝기도 하다. 일찌감치 조선 후기의 독살로 얼룩진 역사를 갈아 엎어버리고

새로운 나라를 창업해 일본을 맞았다면 그땐 어떠했을까? 뭐, 저자도 역사에 만약은 없다고 하지만

그래도 만약에..라고 했을 경우,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많은 게 우리 역사임엔 틀림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