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박현찬,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꽤나 흥미로웠다. 처음엔 좀 고리타분한 책이지 않을까 해서 읽기도 전에 머리가 아파왔는데 책장을 열자마자 그건 기우였다는 것을 알았다. 뒷내용이 어찌나 궁금하던지, 자꾸만 자꾸만 읽게 되는 것이었다. 이야기도 재밌게 엮어가고 있지만 글 속에서 연암이 쓴 글이 정녕 연암이 쓴 것이가 하는 의문을 갖게 만들어 그에 대한 답이 궁금해지면서 계속해서 읽게 된 면도 없잖아 있다.

이렇듯 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적절한 긴장감과 흥미를 갖게 하면서 이야기를 끌어 가고 있다.

 

 이 책이 완벽한 소설이었다면 흠 잡을 일이 없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책은 팩션이고, 게다가 글쓰기에 대한 인문교양의 내용까지 담아야했기에 이 책의 소설적인 면은 장점이 될 수도, 단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야, 책은 무엇보다 재밌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장점으로 받아들였지만.

팔리기 나온 책일 것이고, 글쓰기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긴 하지만 독자를 지루하게 만들지 않으면서 글쓰기 포인트를 잘 전달하기 위하여 소설 형식을 빌어 재밌게 쓴 점에 대해서 불평할 생각은 없다.

그저 글쓰기 포인트를 줄줄 나열한 후 각각 풀어서 쓴 설명 정도 있는 책은 재미도 없을 뿐더러 작정하고 보지 않는 한 머릿속에 잘 남지도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은 소설 형식인 까닭에, 또 그 소설 속의 인물에게 주어진 미션에 따라 하나씩 깨달음을 더해가고 있기에 그 인물에게 주어진 미션과 에피소드 등이 글쓰기 포인트를 설명함에 있어 재미있는 예시가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럼 좀 더 깊이 들어가서, 왜 연암인가!

이 책에 의하면 연암의 글은 정조가 금서로 만들만큼 그 시대에는 받아들일 수 없는 글이었다. 박제가의 글 또한 마찬가지였다. 박지원, 박제가 등을 북학파라고 배웠던 것 같은데, 당시에는 이러한 북학파들이 크게 힘을 발휘하지는 못했던 것 같다. 그들의 저서도 후세에 와서야 사람들에게 널리 인정받았던 것 같다. 물론, 그 시대에도 눈 밝은 사람들은 이들의 글을 알아보고 이들을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 치켜세우기도 했을 것이다. 이 책에 따르면 연암은 자신의 글쓰기 이론을 직접 글쓰기에 실천한 최고의 문장가라고 평하고 있다. 그가 말한 글쓰기 이론이란, 정밀하게 독서하라, 관찰하고 통찰하라, 원칙을 따르되 적절하게 변통하여 뜻을 전달하라, '사이'의 통합적 관점을 만들라, 11가지 실전수칙을 실천하라, 분발심을 잊지 말라이다. 정밀하게 독서하기 위하여 논어를 한달에서 4개월 정도 잡고 읽었다는 이야기, 관찰하고 통찰하기 위하여 붉은 까마귀라는 미션을 내 주기도 하고, 원칙을 따르되 적절히 변통하는 법과 사이의 묘를 깨닫기 위해 박제가에게 가르침을 청하기도 한다. 11가지 실전수칙은 병법에 비유해 설명해 놓았고 분발심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마천이 사기를 쓴 마음을 생각해 보라는 미션을 내 주었다. 큰 틀로서 연암과 연암의 제자 지문의 이야기가 있고, 연암이 지문에게 글쓰기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내린 미션들이 액자형식으로 작은 이야기를 만들면서 각각의 글쓰기 포인트를 집어 주고 있는 것이다.

 

 다 읽고 난 느낌은, 잘 쓴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과 동시에, 소설은 남고 글쓰기 포인트는 남지 않은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는 주객이 전도되었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고 다른 시각에서 보자면 그만큼 연암과 제자의 이야기라는 소설 속에 글쓰기에 대한 내용이 잘 녹아들어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냥 외운 내용 보다는 예를 들거나 연상해서 외운 내용이 더 잘 기억에 남듯이, 지금 당장은 소설만 남은 게 아닌하 하는 생각을 해 보지만,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소설의 내용과 맞물려서 적절한 예로써 이 책의 내용들이 생각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본다.

 

 참, 마지막으로 연암의 글들이 모두 연암이 쓴 것이 맞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글쓰기의 포인트에 부합하듯이 여운으로 남겨 두었다. 참..그 시대를 살지 않은 나에게 이런 궁금증을 갖게 하더니 이마저도 속시원히 밝혀주지 않은 채 끝내 버리다니. 글쓴이는 여운을 남겨 좋을 지 모르겠으나 나는 적잖히 답답하단 말이오..이렇게 여운처리를 한 것을 보면 굳이 밝히지 않아도 되는 내용일 터, 즉, 다 연암이 쓴 글이 맞다는 말일테지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