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건축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일단 한줄 평.

역시, 이 남자와는 절대 연애하지 않을테야-

알랭 드 보통을 읽을 때마다 드는 생각이다. 난 이 남자와 연애하지는 말아야지.

이 남자와 연애를 한다면 꼼짝달싹 못하고 내가 내가 아닌 게 되어 철저히 분해당해

버릴 것만 같기 때문이다. 그것도 그의 시각에 의해서. 거기에 대한 거부감이 커서인지

알랭 드 보통이 신간이 나왔다고 해도 별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인연은 인연인지 이렇게 읽게 되었고, 그렇다면 이번에 나온 행복의 건축은

대체 어떤 책이란 말인가.

 

일단 정체성 불명. 이 책이 어찌하여 인문사회과학예술 분야의 책으로 선정되었을까.

건축 에세이라는데 그러면 문학일텐데, 아니면 차라리 실용취미가 더 적절할 것 같은데

이 책은 인문사회과학예술 분야의 책으로 주어졌고 그러다 보니 나는 참 난감했다.

 

너 이녀석, 네 정체가 무엇이냐! 이렇게 잔뜩 의심을 하고 봐서 그런지 나는 의미를 읽고

있는 것이 아니라 활자를 읽고 있는 기분이었다. 그래도 이게 대체 무슨 말인가 이해하고자

미간에 힘을 주어가며 읽었지만 역시나 무슨 말인지. 그렇게 자꾸 읽다보니 일단 조화라는

키워드가 떠오른다. 이 조화란 건물 전체적인 조화일 수도 있고, 시대와 공간에 대한 조화일

수도 있고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은 조화일 수도 있고 사람의 기질과 취향과의 조화일 수도 있다.

여하튼 중요한 건 조화로와야 한다는 것. 그리고 행복이라는 키워드가 있는데 글쎄, 행복이라는

관점에 대해서는 동의할 수 없었다. 적어도 우리나라에는 자신의 기질과 취향에 맞는, 자신의

행복을 완성시켜 줄 만한 집을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은 그야말로 대한민국 3% 정도?

좀 더 많으려나? 여하튼 보편화된 이야기는 아니라는 것. 그래서인지 이 책은 약간은 씁쓸하기도

했다. 

 

이 책 읽으면서 건축학도들이 읽으면 참 좋겠다 싶었다. 물론 일반인들도 읽으면 좋기야

하겠지만 직접 건축물을 설계하고 디자인하고 하나하나 만들어가는 사람들은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사람들이 건축물을 대할 때, 새로운 건축물을 만들 때

그 건축물과 사람과의 관계, 그 건축물이 주는 의미 등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해 보고

건축물을 만든다면 아름답고도 행복한 건축물이 탄생할 것만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