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룡 - 설득과 통합의 리더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 최고의 재상이라는 유성룡의 이야기이다.
유성룡은 임진왜란 당시, 선조 때의 재상이었다. 그러므로 그의 인생에 임진왜란이 빠질 수 없다.

이 때는 당쟁이 시작되던 시기이기도 했는데 동,서인, 남,북인으로 갈리게 된 이야기와 그 당쟁 속에

휘말린 유성룡의 이야기가 나오긴 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러한 당쟁보다도 임진왜란에 더 주목하고 있다. 아니, 좀 더 정확히 말하지만 유성룡 인생의 키워드는 임진왜란, 이순신, 그리고 선조이다.

 

 이순신은 유성룡이 천거한 인물이다. 일찍이 이순신을 알았던 유성룡은 이순신의 기질을 알아보았고 그를 요직에 거듭 추천한다. 이순신의 승진에는 언제나 유성룡이 있었다. 그리고 이순신의 좌천에는 유성룡의 반대파와 선조가 있었다. 이들이 보여준 세력싸움과 질투심은 임진왜란이라는 국난 앞에서도 아랑곳 하지 않았다. 선조는 자신의 안위를 챙기기에 급급했고 사대부들 또한 이 혼란중에도 당쟁을 일삼고 있었다. 이 혼란 속에서도 중심 잘 잡고 나라를 지켜낸 이가 있으니 그가 바로 유성룡이다.

 

 그는 이순신을 천거한 탓에, 그리고 혼란한 조정을 잘 지켜낸 탓에 선조의 눈 밖에 나게 된다.

이순신을 다룬 책에서도 종종 선조의 질투심을 언급하고 있다. 전쟁 중에 도망가기에만 급급했던 왕을 백성들이 따를 리 없다. 선조에게는 백성들의 비난이, 하지만 이순신에게는 백성들이 칭송이 함께함을 알았던 선조는 이순신을 질투하게 된다. 그리고 그를 전쟁이 끝남과 동시에 제거했을런지도 모른다. 유성룡이 파직당했음을 전해 듣고 이순신은 자신의 앞날 또한 예상했을 것이다. 그러하기에 이순신의 죽음에는 자살이라는 의문이 따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선조에게는 유성룡 또한 질투의 대상이었다. 유성룡은 문인임에도 군사전략에도 눈이 밝아 일찍이 이순신을 발탁하였고 유용한 전술을 생각해 낼 줄도 알았다. 게다가 백성의 입장에서 행정적인 업무 처리를 잘 하였으며 도망가려는 왕을 설득하고 다독이며 조정을 지켜내었다. 백성들은 안다. 누가 백성들을 위하는 사람인지. 백성들은 선조에게는 비난을, 유성룡에게는 칭송과 신뢰를 보였으니 질투의 화신인 선조 눈 밖에 날 수 밖에.  게다가 선조가 도망가려는 것을 번번히 제지하고 선조가 하고자 하는 것을 번번히 제지한 탓에 그는 전쟁이 끝남과 동시에 토사구팽 당하게 된다.

 

 그는 숱하게 선조에게 버림받았지만 이순신이 백의종군 하던 것과 같이 벼슬 없이도 선조의 피난길을 따르기도 하고 또 선조가 다시 부르면 복직하기도 했다. 그렇게 자신이 해야할 일을 했다. 하지만 전쟁이 끝남과 동시에 파직 당한 후로는 선조가 아무리 불러도 응하지 않았는데 이 점에서 토사구팽 당한 후에 유성룡 또한 선조를 버렸다던가, 관직과 담을 쌓았다던가 하는 것 보다는, 유성룡이 정말 백성과 나라를 위하는 재상이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는 선조를 보면서 몇번이고 관직을 벗어 던지고 싶어 했을런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전쟁 중, 그는 차마 백성과 나라를 버릴 수 없었다. 유성룡이 선조에게 답하지 않은 것은 전쟁 후였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전쟁, 그 혼란한 와중에는 개인의 감정보다는 백성과 나라를 구하는 것이 우선이었을 것 같다는, 그것을 자신에게 있어 더 우위에 두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유성룡의 일대기를 따라가고 있고 그 속에서 유성룡을 조명하고 있기에 많은 부분 임진왜란 당시 선조와 조정, 그리고 이순신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유성룡에 대해서, 그리고 임진왜란 중의 나라 상황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