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의 권력을 가진 여성들
러위 지음, 이지은 옮김 / 북공간(프리치)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세계 최고의 권력을 가진 여성들의 이야기이다.
여성 대통령, 여성 총리, 국무장관, 사무총장 등의 직함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에게 주로 붙는 수식어는 최초이다. 각 나라 최초로 여성 대통령, 총리가 된 여성들이다. 이 여성들은 뛰어난 인재인 탓에 이 외에도 그 위치에 오르기까지 무수한 최초 타이틀들을 달고 있다.

 

 왜 최초인가. 이는 굳이 대통령, 총리 앞에 여자임을 나타내는 수식어를 다는 것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통령이나 총리 등 그 나라 최고 권력을 가진 자는 남자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하기에 여자들이 어떠한 높은 위치에 도달하면 그 여성은 최초라는 타이틀을 달아야 했을 것이다.

 

 이 책은 남자들의 세계에서 최고의 권력을 잡은 여성들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그녀들의 공통점은 좋은 가정에서 좋은 교육을 받고 자랐다는 것이다. 석박사는 물론이거니와 주로 교수 경력까지 가진 그녀들은 여성이기에, 콘돌리자 라이스는 흑인이기에 남들보다 더 뛰어나야 했고 실제로 그러한 바탕으로 각자의 나라에서 최고의 권력을 잡았다. 식물에 비교해 보아도 좋은 종자에 좋은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무럭무럭 잘 자라듯이 사람도 좋은 가정에서 좋은 교육을 받고 자라야 이런저런 최초 타이틀도 달고 최고 권력도 잡아보고 하는 것 같다. 물론 예외도 있겠지만 통계적으로 보아 그야말로 예외 일 뿐이다. 그마저도 이 책에서는 없는 듯 해 보이지만.

 

 뭐, 그런 탓에 기운이 빠졌던 이야기는 뒤로 하고, 내가 이 책에 대해 아쉬웠던 점은, 나는 이 책을 보면서 어떤 지침으로 삼고 싶었다던가, 역할모델로 삼고 싶다던가 하는 기대가 있었다. 같은 여성들이고 남성들의 세계의 개척자들인 그녀들에게서 무언가를 배우고 싶었다. 그리고 적절한 모델이 있다면 그 역할모델을 따르고도 싶었다. 하지만 이 책은 그 부분에 대해서는 기대를 충족시켜주지 못했다. 그녀들의 삶을 다룸에 있어서 어떤 가정에서 자라 어떤 과정을 거쳐서 그만큼의 지위에 도달했는지 이야기 하고 있는데 물론, 냉철한 판단력이랄까, 온화한 조정력이랄까 그런 것들로 어떠한 위치에 도달했다라고 말하고 있지만..그건 너무 막연하잖아. 역할모델로 삼기에는. 그냥 그렇구나-하는 정도였다고나 할까. 나도 이렇게 하면 되겠구나, 이런 방법이 있겠구나, 이런 점을 배우면 좋겠구나 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미흡했던 것 같다. 정작 많은 여성들이 그것을 기대하고 이 책을 보지 않았을까?

 

 이 책을 보고 무엇을 얻든 각자의 몫일 테지만, 나는 왠지 모를 씁쓸함을 느껴야만 했다.

워낙에 좋은 가정, 좋은 교욱을 받은 그녀들이기에 나를 주눅들게 만들기도 하였지만 한편으로는 그녀들의 최초로 무장된 경력들이 안쓰러웠다. 그리고 그 서러움을 뒤로 하고 자신의 권력을 이용하여 앞으로의 여성들의 길을 터 주려 하는 그녀들이 고맙기도 했다.

 

 그리고 이 책을 읽는 내내 박근혜 의원이 생각나던데, 과연 그녀가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대통령이 될 것인지 지켜보는 것도 나쁘진 않겠다는 생각이다. 물론, 다른 여성들이 그 자리를 차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총리라는 얼굴마담이 아닌, 진정한 최고 통치자로서의 여성대통령이 배출되는 것. 사실 그 쯤은 되어야 이 책에 실릴만하지 않을까. 이제와서 하는 말이지만 이 책에 실린 여성들 중 몇몇은 각 국의 최고 통치자가 아닌, 우리나라의 총리와 같이 상징적인 의미의 권력자였다. 상징적인 권력자뿐만이 아니라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로서의 여성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