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분
쑤퉁 지음, 전수정 옮김 / 아고라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쑤퉁의 새 소설이 나왔다.
국내에 출간된 쑤퉁의 책은 눈물을 빼고는 다 봤지 싶다.

이번 책은 여성의 이야기가 곁들여진 책이 아닌, 대 놓고 여성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책이다.

쑤퉁의 여성관에 의문을 품은 나로서는 그래, 이번엔 또 어떻게 써 놓았는지 한번 보자! 하는 심산으로 이 책을 펼쳐 들었다. 그리고 나는, 실망했다.

 

 아니, 어쩌면 역시나 쑤퉁, 이라는 생각에 더 가까웠던 것 같다.

'쌀'이라는 작품에서 당찬 악녀였던 쯔윈을 첩으로라도 라는 생각을 하는 여성으로, 첩으로 들어가서도 첩대접이 아닌 하녀대접을 받으면서도 자신의 아들이 장성하면 자신의 처우가 달라질 것이라는, 즉, 자신의 삶을 자신이 선택하던 당찬 여성에서 자신의 운명을 남자에게 맡긴 채, 그 남자가 자신의 위치를 끌여올려 주기만을 기다리는 여자로 만들어버렸던 바로 그 쑤퉁이었다.

 

 '홍분'이라는 책 속에는 '부녀생활', '홍분', '또 다른 부녀생활' 이렇게 세 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첫 작품인 부녀생활 속에 나오는 씨엔이라는 여성은 뱃 속의 아이 때문에 자신의 인생을 망쳤다 생각하는 여인네로 나오는데 이 여인네의 푸념이란 내가 이 아이를 지우고 그 남자를 따라가는 거였는데, 라는 것이었다. 그 남자 뜻대로 하지 않아서, 그 남자 마음에 들게 하지 않아서 나는 그 남자에게 버림 받게 되었고 그래서 인생이 이모양이 되었다는 것인데, 이 씨엔이라는 여성의 상황이, 아닌 씨엔뿐만이 아니라 쑤퉁의 작품 속에 나오는 여성들의 삶이 기구한 것은 이해가 되고 그럴 법도 하고 또 그렇게 그려진다고 해서 거부감도 일지 않지만 어떻게 하나 같이 그 기구한 삶에 반응하는 게 똑같단 말이더냔 말이다. 물론, 무슨 당찬 신여성같이 그려달라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쑤퉁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여인네들이 하나 같이 결국엔 남자에게 자신의 운명을 맡겨 버린다던지, 던져버린다던지, 하다 못해 버려버린다던지 하냔 말이다. 그리고 그 남자들이란 그 여자들 위에 군림하면서도 묘하게도 그 여자들을 두려워하게 그려놨단 말이지. 여하튼 이런 생각이 들어서 너무 짜증이 났고, 역시 쑤퉁이야, 하는 실망인지 뭔지를 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좀 더 읽어내려가면서 그리고 쑤퉁이 했던 말을 생각해 보니..이게 바로 중국의 현실이라면, 이게 중국 속에 통용되는 시각이라면 어쩔거냐는 생각이 들었다. 쑤퉁은 중국의 여성들의 이야기가 하고 싶다고 했다. 그렇게 해서 나온 이야기들이 하나 같이 이렇다면 이게 중국의 현실인 것 아닌가.

우리나라 조선시대처럼 여자는 **해야 한다 라던지, 지금 우리가 보기엔 아니 왜 그렇게 생각을 하는지 답답할지언정 그 시대에는 그게 상식이었던 부분이라면 이제와서 우리의 시각대로만 그릴 수는 없는 것 아닌가. 마찬가지로 쑤퉁의 소설 속에 나오는 여자들이 결국엔 하나 같이 자신의 인생을 남자에게 맡겨버리던지, 버려버리던지 했더라도 그게 쑤퉁이 말하고자 하는 보통의 중국 여인들의 삶이라면 할 말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고, 어쩌면 쑤통도 나와 같이 한번 쯤은 답답해 봤을런지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었고 또 바로 이런 이야기가 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부녀생활을 보며 이런 생각들을 정리했던 나는 이 책의 타이틀이기도 한 '홍분'을 읽기 시작했다.

홍분의 첫 장면은 기녀들이 노동수용소 같은 곳에 실려 가는 장면이었다. 정신개조라는 명목하에 기녀들에게 노동을 시켰고 그 속에서 생활을 잘 하면 밖으로 나가 공장 같은 곳에 취직해서 한 사람 몫을 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분칠을 하던 여인네들은 갑작스레 힘든 노동을 해야 했고 그런 처우를 거부했던 치우이는 노동훈련부대로 가던 도중 트럭에서 뛰어 내렸다. 그리고 찾아 간 곳은 라오푸라는 남자였다. 하지만 라오푸도 끝내 치우이를 지켜주지 못했고 치우이는 머리를 깎고 절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후에 라오푸는 치우이와 둘도 없는 사이였던 샤오어와 결혼을 하게 된다. 이 샤오어라는 여자는 힘든 노동이 죽는 것 보다 더 싫었다. 실제로 그 노동이 힘들어 죽으려 했지만 죽지 못했고, 붙잡혀 가서도 그 어떤 처벌 보다도 혹여나 노동량을 늘리지 않을까, 그렇게 된다면 이번엔 어떤 방법으로 죽어야할까를 고민할 만큼 힘들게 일하는 것을 싫어했다. 그래서 였을까. 그녀는 자신이 그토록 따르던 치우이의 남자였던 라오푸와 결혼까지 하게 된다. 그리고 아이를 낳게 되고 그 생활 속에서도 힘들게 살고 싶어하지 않았던 그녀 탓에 라오푸는 공금횡령을 하고, 후에 발각되어 죽게 된다. 그렇다면 그 후 샤오어는 어떻게 살았는가. 한동안은 다시 일을 하며 착실히 사는가 싶었더니 또 어떤 남정네를 따라가 버렸다. 홍분이라는 책 속에 나온 남녀관계를 보다 보면 일전에 읽었던 '욕망의 진화'라는 책이 떠오르는데 욕망의 진화라는 책은 진화생물학이었던가, 하는 것으로 남녀 관계를 설명하는 책이었다. 즉, 남자는 자원을 가지고 있고 여자는 젊음과 건강을 가지고 있다는 것. 이 젊음과 건강 속에 미모가 포함될 수도 있겠다. 여하튼, 그리하여 남자들은 젊음과 건강을 가려내기 위하여 피부가 좋고 생기 있으며 머릿결도 윤기가 흐르고 허리와 엉덩이 비율이 적절한 여성을 고르게 되고 여성 또한 남성의 자원력을 보기 위해 남들보다 사냥감을 더 많이 가져올 수 있는 체격을 본다던지, 명석한 두뇌를 본다던지, 아니면 실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원을 본다던지 하는 등으로 남자를 고르게 된다는 것이었다. 여하튼, 이 홍분이라는 작품을 읽으면서는 이 욕망의 진화 속에 그려진 남녀 관계가 생각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읽은 작품이 '또 다른 부녀생활' 이었는데 이 작품이 가장 흥미로웠던 것 같다.

간장가게에는 세 명의 여자가 있는데 이들은 2:1로 편을 먹어 싸우기도 하는데 그 편이란 늘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세명의 여자는 서로 의심하고 욕하고 치고박고 하기도 하는데 결국엔 피를 보고야 만다. 또 다른 이야기로 이 간장가게 윗층에 사는 노처녀 자매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40이 넘도록 남자 손 한번 잡지 못한 여인네들답게 모든 생활을 아주 조신하게 하고 있다. 거의 사람 사는 소리조차 들리지 않는 윗층은 음산하기도 하지만 그만큼 궁금증을 자아내기에 충분하기도 했다. 이렇게 극과 극으로 보이는 아랫층과 윗층. 하지만 이 아랫층과 윗층이 조금씩 교류하기 시작하면서 아랫층이 윗층이 될 순 없었지만 윗층도 아랫층과는 별반 다를게 없다는 것은 보여주었다.

 

 세 작품 모두 끝이 좋지는 않았는데 그것이 작가의 악의였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그렇다고 그 여인네들이 불쌍하다거나 하지도 않는다. 이 이야기들을 따라가다 보면 당연한 귀결인 듯이 느껴지기도 한다. 어쩌면 그것이 인간의, 여성의 본심일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살 수밖에 없었던 것은 그 여자들이 꼭 그렇게 생겨 먹었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그 시대와 상황 속에서는 그렇게 흘러갈 수 밖에 없었을 법도 하다. 물론 게중에는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며 만족할만한 삶을 산 여성들도 있겠지만 그런 여성들이 특이한 경우일 것이고 대개는 이 범위 속에서 조금 더 상황이 좋았다거나, 나빴다거나 하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뭐, 따지고 보면 21세기를, 그리고 한국에서 살고 있는 우리네 삶이라고 이와 다르겠는가. 길가는 40-50대 여성 아무나 붙잡고서 그 여성에게 지금까지의 삶을 이야기 해 보라고 하면 이 소설 속에 나왔던 여자주인공들의 비극 한 토막 쯤은 다들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 여자들은 또 다른 사랑을 꿈꾸기도 하고 자포자기 하듯이 한 남자에게 기대기도 하고 했을 것이다. 아마도 내가 쑤퉁의 여성관까지는 아니더라도 쑤퉁의 소설 속에서 그려지는 여성의 모습들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 것은 그것이 없는 이야기, 쑤퉁만 그렇게 그려대는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아니기 때문에, 아니긴 하지만 나는 그렇게 살고 싶지 않고 그렇게 살지도 않을 것이란 생각에 더 반발심을 가지게 되는 것이지 않을까.

 

 여하튼, 이번 '홍분'이라는 책은 나에게 여성으로서의 삶과 그 속의 역학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게끔 했던 책이었다. 참, 책이 생각보다 빨리 읽혔는데 싫다 싫다 하면서도 이야기가 재밌고 궁금하니까 줄줄 읽어 내려져 가는 건 어쩔 수가 없더라. 아는 언니가 소설 책 한 권을 권해 달라고 했는데 술술 재밌게 잘 읽히는 것을 보니 이 책을 권해주면 크게 기대에 어긋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읽고서 무슨 생각을 하던지는 자유지만 그 책이 읽기에도 힘들다면 그것은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읽은 후 무슨 생각이 들런지는 모르겠지만 책장은 술술 잘 넘어가도록 재밌게 잘 쓰여진 책이니 기회가 닿으면 한번 읽어 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