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속에서 과학이 숨쉰다
장순근 지음 / 가람기획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지난 번 아빠, 천체관측 떠나요에 이어서 별점에 의심을 품으며 다른 이의 리뷰를 먼저 읽어 보게 된 책이됐다. 이 책의 평균 별점은 3개. 사실 이해는 간다. 다만 아쉬울 뿐이다.
그럼 어찌하여 이 책의 평균 별점은 3개이고 나는 그 사실을 아쉬워하는지 알아보자.

 

 이 책은 지질학이라는 타이틀을 달고는 있지만, 그냥 지구이야기에 가깝다는 생각이다. 물론, 지질학 자체가 지구 그 자체를 다루는 일이 많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고, 고생물들에 관련도 있고, 지질이라고 하면 대륙뿐만이 아니라 해양, 남극, 북극, 모든 부분에 걸쳐 다 알아봐야 하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정통 지질학이야기로 시작했다가, 예를 들면 침식이 지형에 끼치는 영향 풍화작용이 끼치는 영향 등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웠던 그 지질학이야기로 시작해서 광물 이야기로 넘어가면서 여러가지 광물들의 발견사와 황금, 소금, 암연 등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서 나온 이야기는 조금 쌩뚱맞은 '실러캔스'라는 8,000만년 전에 멸종됐다고 생각했던 물고기를 발견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타이틀은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해서 이 물고기의 발견이 가져다주는 의미를 생각해보자는 것이겠지만 내용의 대부분은 이 물고기를 발견한 학자들의 끈기와 집념, 그리고 이 물고기 발견 당시 정황 등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머리 아픈 지질학 이야기에서 잠시 벗어나 머리도 식히고 흥미도 유지할 수 있어서 좋기도 했지만 뭔가 구성 상의 문제점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이런식이다. 한 권의 책 안에 큰 주제를 가지고 그 주제가 통일감있게 잘 짜여져 있어야 할텐데 이건 그냥 저자의 논문들을 모아놓은 것이라 그런지 주제의 통일감이 좀 떨어져 전체적으로 책으로서의 질은 좀 떨어져 보이는 것이지 않나 싶다.

 

 하지만, 내가 이 책의 별점이 낮은 데에 대해 아쉬움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이 책 속에서 다루고 있는 각각의 장만 놓고 봤을 때 그 각각은 저마다 잘 씌여진 글이라는 것이다. 논리적으로 차분히 잘 쓰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사실, 한번 읽었다고 해서 이 책의 내용을 바로바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저자가 강의를 한다면 그 강의는 한번 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왠지 딱딱하게 느껴지는 지질학을 아주 재밌게 잘 풀어서 강의해 줄 것만 같기 때문이다. 저자가 쓴 책이 많던데, 또 여기저기 학회며 연구차 야외조사며 많이 다디던데, 연구 실적이며, 연구에 임하는 자세, 동료 연구자들에 대한 예의와 존경 등을 봤을 때, 저자는 꽤 좋은 학자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아무쪼록 그가 말한대로 열린 시각을 가지고 과거의 연구에 얽매이지 않고 현재 더 많이 밝혀진, 그리고 앞으로 밝혀질 수 있는 것들을 염두에 두고, 우리나라 지질학이 한층 더 깊어지고 넓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시간 되면 이런 책도 종종 써 주고. ^^

 

오타신고.

p251 첫째줄 사람이 다는 길에서도 -> 다니는

p264 밑에서 8째줄 마리퀴리 이 -> 마리퀴리 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