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침없이 빠져드는 역사 이야기 -경제학 편 청소년을 위한 교양 오딧세이 1
황유뉴 지음, 이지은 옮김 / 시그마북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우선 한줄 평

- 내 이럴 줄 알았지.

 

 

 이 책이 선정되기 이전에 이 책에 대한 목차를 훑어봤었다. 목차로 미뤄보아 이 책은 경제학에 대해 방대한 분량을 다루고 있음에도 정작 책의 분량은 350페이지 정도 밖에 되지 않는 것이었다. 그냥 350페이지라고 하면 많은 분량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으나 이 책의 목차를 본다면 절대적으로 부족한 분량이라는 것에 동의할 것이다. 그리고 받아 든 책은, 내가 미처 살펴보지 못한 탓도 있겠지만 이건 청소년을 상대로 나온 책이더라. 아, 그렇구나. 그래서 그랬구나. 그럼 청소년을 상대로 경제학에 대해서 얼마나 잘 이야기 하고 있는 지를 살펴 보자.

 

 휴,,이 책이 결정적으로 나에게 미움을 받은 것은 이 책은 청소년 용으로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경제학에 대해서, 경제학의 역사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청소년들에게 전달하겠다는 것인데 우선은 개념 설명에 있어서 어려운 부분을 자세히 잘 풀어서 설명하지를 못했다. 내가 봐도 어렵다. 단 몇 페이지에 한 경제학자와 그 경제학자가 쓴 논문, 어떠한 법칙에 대해서 설명한다는 것은 심히 어려운 일일 것이라 짐작된다. 그렇다면 차라리 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인물에 대한 배경설명과 그 인물이 주장한 것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만 다루었어도 좋았을 것이다. 아니면 인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어떠한 경제학적 개념에 대해서만 집중해서 다루었어도 좋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이도 저도 아닌 와중에 이것도 저것도 어중간하게 다루어 놓아서 정작 쉽게 잘 풀어서 설명해 놓아야 했을 부분에 대해서는 적당히 넘어가 버려 독자의 이해를 돕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내 생각했던 부분인데, 학교에서 경제학 부분에 대해서 가르칠 일이 있을 경우, 선생님이 수업을 시작하기 이전에 학생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서 잠깐 재밌는 일화를 드는 경우가 있는 데 그럴 경우에 이 책의 내용을 인용하는 데에는 이 책의 유효성이 있을까 싶었다. 그리고 이 책이 미흡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용 책이구나라고 확실히 느끼게 해 주는 대목은 책 중간 중간에 박스 모양으로 해서 그 안에 고등학생들의 교과서에 나올 만한 내용이랄까, 교과서 속의 삼화과정이랄까, 그런 느낌의 글이 담겨 있는 것이 지금 내가 보고 있는 것이 역시, 청소년 용이구나 하고 느끼게 해 주었다.

 

 청소년들에게 경제학의 흐름에 대해서 개략적인 설명을 하겠다는 의도는 좋았지만 그 의도가 충분히 드러나지 못한 점이 이 책의 결점이다. 이 책 보다는 다소 어려울지도 모르겠으나 '세속의 철학자들(로버트 하일브로너)'을 읽는 것이 시간 대비 더 효율적인 일이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