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비실록 - 숨겨진 절반의 역사
신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숨겨진 절반의 역사, 그 숨겨진 절반의 역사를 파헤치고자 쓴 책이다.

여기서 숨겨진 절반의 역사라 말함은 왕에 가려 실로 많은 역할을 했음에도

그 기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왕비들을 말한다.

우리는 조선 건국에 대해 이성계만을 기억하고 있지 신덕왕후라는 존재에 대해서는

기억하고 있지 않다. 그녀가 개국에 대해 어떠한 기여를 했는가는 더더욱 모르고 있다.

이 책 대로라면 신덕왕후가 배후조종 하듯이 했던 이성계와 그의 아들 방원만을

기억할 뿐이다. 바로 이 지점, 겉으로 드러나진 않지만 겉으로 드러난 남정네들을 배후조종

했거나, 겉으로 드러난 역사적 사실, 그 안에서 큰 기여를 했던 왕비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바로 이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이 책은 제목만으로도

시선을 확 잡아끄는 책이지 않은가!

 

하지만, 이 책은 기묘한 점이 있는데, 그녀들이 조선의 역사 속에서 숨겨진 절반의 역사가

될 수 밖에 없었듯이 이 책에서 또한 그녀들은 숨겨진 절반의 역사로 인해 이 책을 완전한

책으로 만들지 못했다. 무슨말인고 하니, 왕비들의 삶은 입성과 동시에 둘로 나뉘어진다.

궁 밖에서의 삶과 궁 안에서의 삶. 궁 밖에서 명문가의 영양으로 자라났던 여인네들.

그 여인네들은 스스로 왕비가 되고자 하는 욕심이 있었거나 집안 차원에서 왕비로 만들고자

했다 할지라도 꼭 왕비가 될 거라 생각하고 기록들을 남겨 놓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러니까 궁 밖에서의 삶에 대해서는 사료가 너무나도 부족하다는 말이다.

그리고 때로는 작정을 하고 왕비에 대한 기록들을 말살시켜 버리거나 왜곡한 적도 있었다.

왕비의 삶에 대한 기록마저도 반쪽자리일 수 밖에 없으니, 숨겨진 절반의 역사를 파헤치겠다는

이 책도 결국엔 반쪽짜리 책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 책이 차라리 역사소설이었다거나 드라마 시나리오 정도였다면 이리 거부감이 생기진

않았겠지만-사실, 왕비들의 행적을 추적해보니 여느 사극 속의 왕비, 후궁들과 다르지 않더라,

다만 이 책은 사극에서 미처 다루지 않았던 인물들도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사극이 일부러

다루지 않은 게 아니라 자료수집이 여의치 않았기에 아직 다루어지지 않은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이 책은 제목에 조선왕비실록이라고 달고 나온 책임을 감안했을 때 뭔가 속은

기분이 아니들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 바로 이 기분, 실록인 줄 알고 펼쳐들었던 이 책이

알고보니 대부분이 저자의 추측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 배신감이 들었던 것이다.

하지만 저자의 입장이 이해가 되지 않는 것도 아니니 그냥 넘어 가야 하는 걸까?

이해는 되지만..자신의 삶이 후에 이리 평가를 받는다고 생각을 해 보자.

내가 만약에라도 유명인이 되어 누군가가 내 삶을 추적하는데 나에 대한 자료가 많지 않은

와중에 내 일생에서 어느 특정한 인물이 나에 대해 특정한 시각에 대해 남긴 글 하나로

이걸 보아하니 이 사람은 어린시절 성장 배경이 이러이러하고 이런 성품을 가지고 있었군,

그러하기에 후에 어떤 일을 겪었을 때 아마도 이렇게 했을 것이야, 라고 말이다.

늘 한결 같은 사람도 있겠지만 나 자신이 어린시절의 모습과 지금의 모습이 달라서 더 예민하게

구는 건지도 모르겠다. 20대에 들어서는 한해한해 가치관이 바뀌는데..휴..한숨만 나올 뿐이다.

 

휴,,나는 너무나도 안타깝다. 역사의 뒤켠에서 빛바랜 왕비들의 이야기가 이렇게 나온 건

좋은 일이지만 이마저도 완전하지 못하고 불완전한 채로 세상 속에 나와, 어쩌면 우리는

어느 한 인물에 대해서는 대단한 오해를 하게 될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나는 이 책에 대해 기본적으로 신뢰가 없는 것 같다. 그건 저자의 이야기 방식의

문제일 수도 있고 내가 지나치게 의심이 많은 걸 수도 있지만, 여하튼 의심을 품고 달려드는

독자들은 설득할 수 있을 만큼 시원스런 책은 아니라는 거다.

 

이왕 나온 책 어찌하겠는가, 앞으로라도 이런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서 학자들끼리

토론도 해 가면서 최대한으로 신빙성 있는 진실을 찾기 위해 절차와 방법을 이용하기를

바래야지.  

 

결론적으로 이건 리뷰라기 보다는 내가 이 책을 왜 못 믿겠는지에 대한 변명들을 늘어놓은

꼴이 되어 버렸지만 나 또한 이 책을 집어들 때에는 대단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왕비들의 이야기 자체는 재밌었다. 정말이지 역사소설이었다면 재밌게

읽었을 법한 책이었다. 사극을 많이 보던 사람들이라면 모든 역사적 상황 속에 왕비들이나

후궁들이 어떠한 역할을 했을런지 짐작할 수 있겠지만 각각의 왕과 왕비, 그 시대에 따라서

어떤 식으로 왕비들이 역사적 사실에 기여했는지 엿볼 수 있는 재미도 있으니, 좀 더 객관적인

자료들을 보충해서 개정판을 내면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