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쿠호오 이야기 - 규슈 지쿠호오 탄광을 중심으로 한 격동의 민중사, 평화교육시리즈 03
오오노 세츠코 지음, 김병진 옮김 / 커뮤니티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책은 꽤나 묵직했고 이 책 속에 담긴 이야기들은 그 무게를 가늠할 수 없다.

이 책은 이 책 자체가 이 책을 만든 사람들의 마음이다.

나는 이 책 내용의 무게만큼, 이 책을 만든 사람들의 마음의 무게만큼 이 책이 아쉽다.

 

일본의 탄광과 그 탄광 속에서 노동력을 착취 당한 일본인들. 그리고 조선인들.

우리는 일본인이 한국인을 상대로 자행했던 악행들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그런 악행들은 조선인만을 상대로 이루어 진 것은 아니다.

일본인들은 같은 일본인들에게도 그들의 필요에 의해 충분히 악행을 저지를 수 있었다.

박정희 시대, 경제를 위해 국민들을 착취하고 탄압했던 것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일본도 경제 성장을 해야 했고, 일본 국민들도 배가 고팠고, 그 속에서도 일본은

조선을, 중국을, 러시아를 그리고 세계를 침략하고자 했다. 그리고 조선의 여성 뿐만 아니라

자국의 여성에게도 요구하는 바가 있었고 가난한 사람들은 자신의 딸자식을 팔았다.

그리고 그렇게 팔려간 딸자식들은 결국 일본에 이용만 당하고 먼 타국에서 버려졌다.

 

하지만 이 책이 정말 일본인이 일본인을 착취한 이야기일까?

정말 일본인이 전쟁 속에서 힘들었던 이야기를 하고 있는 책일까?

 

한국에는 형평사가 있다. 일본에는 수평사가 있다.

형평운동이라고 들어본 적이 있는가? 진주에서 일어난 백정들의 인권운동이다.

수평사도 비슷하다. 우리 백성들 중에도 백정과 같이 특별히 천대 받는 사람들이 있었듯이

일본에도 부락민이라고 하여 특별히 차별당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리고 이 사람들은 격리되어 한 마을에 모여 살았고, 그 마을에서 불타는 검은 돌을

발견하여 그 돌을 캐다 팔게 되었고, 곧이어 그 마을은 큰 탄광촌이 되었던 것이다.

그 곳이 바로 지쿠호오이다. 물론 후에는 부락민, 조선인들 뿐만 아니라 돌아온 군인들,

오갈 곳 없는 실직자들이 때로는 정부의 경제 부흥 정책에 의해 때로는 입에 풀칠이라도

하기 위해 탄광으로 모여 들었다. 이 탄광이라는 곳은 그러니까 천대받는 사람들, 차별받는

사람들이 모여 일하던 곳이었고 또 그 노동현장은 참혹, 비참, 3D 등의 수식을 붙일 수 있었다.

 

여기서 잠깐, 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이런 구절이 떠올랐다.

 

'울고 있는 친구에게 울어본 적 있는 친구가..'

 

그러니까 그 탄광에 있는 사람들이 누가 먼저 울었느냐는 그다지 중요하진 않고,

일단은 울어본 적이 있거나 지금 울고 있는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부락민들은

조선인들에게 정을 줄 수 있었고 지금까지도 그 당시 정황을 알리는 책을 만들고 시민모임을

조직하고 시민운동을 펼치는 등 그 당시 강제 동원 당한 조선인 노동자들을 위해 같이 눈물을

흘려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 할지라도 그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의 마음이 모여서 나온 책이다. 그러하기에 더더욱 아쉬운 책이고.

 

우선, 일단 책이 판본이 크고 무겁다. 안에 삽화들도 이쁘지 않다.

추천서와 서문만 일본어와 함께 실려 있나 했더니 이 책 전체가 위에는 한국어,

아래는 일본어 이렇게 두 가지 언어로 씌여 있다. 이 책이 한국에서 먼저 나온 걸로 아는데

한국에서 출판하면서 왜 일본어를 같이 실었을까 하는 궁금증이 일었다.

뭐, 나름대로 의미가 있겠지.

그건 그렇다 치고, 아이들, 청소년들도 염두에 둔 책인 듯 한데 말이 너무 어렵다.

기술 방식도 이야기 방식을 따르고는 있지만 그랬던 거야, 그랬어, 이런 식으로 서술어만

부드럽지 그 안에 설명하는 말들은 용어가 어렵다. 좀 더 쉬운 말로 표현한다거나 비유를

해 가면서 기술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그리고 삽화. 그림이 너무 눈에 안 들어와서

거의 힐긋힐긋 보기만 했는데 이는 나중에 생각해보니 아이들이 이 탄광 이야기를 보고

그림을 그린다면 이렇게 그리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일본에서 아이들을 대상으로 그림

동화를 보여준다던데 그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그림이라 생각하니 내 눈엔 익지 않지만

아이들이 보기에는 이 그림이 더 와 닿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 보고서 같은 기술 방식

말고 쉬운 말로 비유도 들어가면서 기술했더라면 더 좋을뻔 했다.

 

쏟아부은 마음과 정성에 비해서 책이 잘 나오지 않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무척이나 아쉬울 수 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