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1 - 개정판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을 읽는다는 느낌이 아니었어.

나는 주인공을 보고 있지 않았어. 소설 속의 주인공이 아닌, 나를, 내 주위의 누군가를,

그도 아니면 작가를 훔쳐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 아마도 이는 이 책의 모든 내용이

꼭 내 이야기라고만은 할 수 없기 때문일거야. 일부는 나의 이야기였고, 일부는 내가 아는

누군가의 이야기일 수도 있겠고 그도 아니면 이건 작가의 이야기구나.

그래서 이 책은 도통 소설 같지가 않았던거야. 누군가의 일기장을 훔쳐보는 느낌.

 

이 책의 초점은 철저하게 여성에게 맞추어져 있어. 남성의 이야기를 하면서도

그건 그 남성이 직접 이야기 하는 게 아니라 여성들이 아, 저 남자는 이래서 저런 모습을

보일 수도 있는 거구나, 하고 이야기를 해. 남성의 이야기이든 여성의 이야기이든

기본적으로 정신분석학을 전제로 깔고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편견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았지만 그래도 이 책은 남성을 너무 남성답게 다루고 있지 않아.

여성의 분노를 무한한 사랑으로 받아주는 여성들의 기대치가 반영된 그런 인물로 나오거나

아니면 여성들의 분노의 대상이 되는 그런 남성들로 나오거나.

 

세진과 인혜와의 관계를 내심 궁금해했어. 저들은 왜 저랬을까? 작가는 이 둘의 관계를

두고 어떤 이야기가 하고 싶었을까? 결국엔 동전의 양면을 이야기 하는 것이었구나.

원인은 같은데 나타나는 방향이 다른 거. 세진이 자신의 콤플렉스를 다스리는 방식,

인혜가 자신의 콤플렉스를 다스리는 방식이 달랐던 것 뿐이구나. 알고 보면 같은 건데

그 둘은 서로를 보면서 같은 생각을 하고 그 같은 생각으로 인해 서로에게 같은 상처를

입히고 같은 상처를 받고..그래, 40이 되기전에라도 자신을 점검해 볼 수 있어서 다행이야.

나는 이 책을 보면서 제발 20대에 끝내보도록 하자라는 생각을 했지만.

 

1권까지 읽었을 땐 이런 상담치료를 받을 수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어.

이미 나는 나의 도덕률을 깨뜨렸고 경쟁을 지레 피하던 내 모습도 자각했지만

아직도 나는 내가 알지 못하는 무의식으로 인해 가슴 속에 상처를 쌓아두고 있을 거야.

어쩌면 이따금 내가 아무런 일도 없는데 습관처럼 혼자 몰래 내뱉는 욕지거리에 대한

답을 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어. 나의 파괴의 욕구 또한 말이지.

그래서 나는 나도 저런 상담치료라도 받으면서 더 큰 사고를 치지 않기를, 내 자식을

정신병자로 만들지 않기를 바란다고 생각했지만 이내 나는 이 책에서 말하는 정신분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유아기에 대한 부재가 존재하는구나 하는 생각에 그런 생각들을

거둬 버렸지. 나는 기억이 나지도 않을 뿐더러 나에게 이야기를 해 준 사람도 없었으니

무슨 수로 나의 유아기를 추적하지? 무슨 수로 나의 결핍들을 찾아내지? 이런 고민들이 생겼네.

 

책을 읽다가 갑자기 울고 싶을 때가 있는데, 그건 내 무의식이 나에게 말을 거는 것일까?

이러니 내가 이 책을 소설로 읽을 수 없다는 거야. 주인공에게 공감하고 동화되는 차원의

문제가 아니거든. 이 책을 참고서 삼아 자신을 보게 된다고 해야 맞을거야. 이게 무슨 소설이니.

그냥 정신분석 사례집이지. 좀 더 세련되고 재밌는 사례집?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이 제목을 두고 이 책을 읽고 나는 지난 내 남자들의

공통점이 무엇이었는가를 떠올려봤지만 글쎄, 공통점이 잡히질 않는 걸.

이건 내겐 아직까지 남자를 고를 때 만큼은 나의 무의식이 작용하지 않은 거라고 봐야하니.

아니면 어릴 때 받지 못한 사랑에 대한 복수라도 하듯이 나를 좋다는 사람이라면, 그닥 싫지만

않으면 나는 그걸 게걸스럽게 받아 먹었다고 해야 하니.

물건에 집착하지도 사람에 집착하지도 않으려는 건 이미 내가 내 것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일테고 그건 또 어린 시절의 경험에 근거하는 거겠지.

여러모로 이 책은 나에겐 소설로만 읽을 수는 없었던 책이 되었네.

 

그나저나 김형경은 언제까지 이런 책들을 써 낼거지?

성에도, 사람풍경도, 정신분학석을 작품에 깔고 있는데, 그냥 이것자체가 김형경 스타일이

되어버린 거야? 정신분석을 받은 사람은 계속해서 그 일은 혼자서 해 나간다고 하던데

아, 이건 이 작가 이야기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 끊임없이 자신의 작품속에서 정신분석을

해 나가고 있는 그녀. 그녀는 이미 건강한 정신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겠지?

아예 대 놓고 독자들에게 정신분석을 권하고 있는 것을 보면 말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