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 1
송은일 지음 / 문이당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송은일 작가의 새 책이 나왔다.

소울메이트와 도둑의누이에서도 이야기를 참 잘 만드는 작가라 느꼈지만

이번 반야는 아예 대 놓고 이야기이다. 앞의 두 작품이 현 시대를 배경으로 했기에

그 현 시대에서 너무 허황된 이야기, 너무 현실감 없는 이야기를 쓰는 작가라는 평이

언짢았나보다. 그에 대항이라도 하듯 이젠 아예 배경을 조선시대로 옮겨서 그야말로

허황된 이야기에 불과한 반야라는 무녀와 사신계라는 만민평등한 조직을 내세워 이야기를

얽어가고 있다.

 

반야라는 무녀는 어린 시절부터 보이는 게 너무 많아 삶이 고달픈 아이였다.

주렁주렁 매달린 식구들이 반야를 웃전으로 받들며 산다고는 하지만 이는 곧 그 많은 식솔들을

반야가 먹여 살려야 함을 말하며 곧 반야에게 그들의 목숨이 달려 있음을 말한다.

 

전생에 반야는 어느 왕의 후궁이었다. 이 소설 속의 배경은 짐작은 가능하나 확인은 불가능한

특징이 있는지라 짐작해 보건대, 반야는 전생에 장희빈이었음을 나타내지 않을까.

그 반야와의 악연을 이 생에 이어 만난 이 김선비. 이는 아마도 숙종이었을게다.

오로지 한 남자의 사랑을 받고 싶어 발악을 했던 여인 반야, 그 반야에게 독약을 먹인

남자 김선비. 이는 곧 숙종과 장희빈의 관계를 말하는 것 같지 않은가.

여하튼, 이들의 악연은 현생에까지 이어졌다. 그리고 또 한명의 악연, 김학주.

그자는 신내림을 받아야 함에도 그 신기를 누르며 그 신기를 적당히 자기 앞길에 이용할 줄

아는 자로 나온다. 한마디로 기가 엄청 드세다는 것이다. 자신의 신기에 잡아먹히기는 커녕

그 신기를 자신의 앞길에 이용해 먹다니. 이런 작자가 반야의 악연으로 나오니 반야의

인생이 더 고달프다 하겠다. 그리고 이 속에서 반야가 이용해 먹은 사내가 있었으니 그는 임인.

이 세 악연과 반야의 교만이 만나 반야는 자신에게 목숨줄을 대고 있던 식솔들을 잃는다.

 

반야의 친모인 유을해. 애초에 반가의 여식이었으나 일찍이 부모를 잃고 친척집에서 키워지다

자신의 아비보다도 늙은 사내의 후실로 들어가라는 말에 자신을 죽음 셈 치고 무녀의 딸로

들어가게 된다. 그녀는 타고난 무녀가 아닌 배워서 익힌 무녀이다. 그런 그녀가 반야를 낳았고

그 외 죽어가는 아이들을 거둬 자신의 아이삼아 길러 낸다. 그 아이들 중엔 반야와 평생을

여여하리라 생각했던 동마로가 있었다. 그들은 나들이를 갈 때도 언제나 함께였고, 반야의

일거수 일투족이 동마로를 빼고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가깝고도 먼 사이였다.

무녀였던 반야와 겉으로나마 남매인 동마로는 부부의 연을 맺을 수는 없지만 언제까지나

그러하리라 믿었던 사이였다.

 

이 두 사람 모두 결국엔 반야를 위해 죽었다. 스스로 제 목을 찔러 죽는다.

앞서 말했던 반야의 악연과 그 악연을 다스림에 있어서 반야의 교만이 반야에겐 둘도 없는

귀한 인연들을 사지로 몰아넣은 것이다. 그리고 반야는 눈이 멀어 버렸던가.

 

이 책을 참 재미나게 읽고 있다가 동마로가 죽는 부분에서는 이 뭔가 싶었다.

그 어미가 죽을 때까지만 해도 일이 그리 풀여갈 수도 있겠다 싶었으나 갑작스레 동마로마저

제 목을 찔러 죽였다고 하니 어찌나 허전하던지. 반야와 동마로 둘이서 이 소설을 끝까지

이끌어 갈 줄 알았더니 그 둘 중 하나는 죽고 하나만 살아남아 이 남은 이야기를 끌고 가야

하는데 내 마음이 다 헛헛해 지는 것이, 이건 뭔가 잘못된거야, 작가가 이야기를 왜 이따위로

만들었지, 이건 아니잖아, 이야기가 갑자기 이상해졌어 라고 마구 작가 욕을 해 주다가,

그만큼 반야의 가슴에 멍이 들었겠구나 싶고, 그만큼 이 아이 반야가 가슴이 찢어지겠구나,

헛헛하겠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 책을 다 읽어내야 하듯이 이 아이도 자신의 남은

생을 살아 내야 하겠구나 라는 생각에 어찌나 마음이 안 좋던지. 작가가 너무했다 싶었다.

 

이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고 했다. 동마로 없인 안 될것 같던 이야기도 남은 악연들과

동마로를 대신한 사내의 이야기로 어찌어찌 이어는 지더라. 그리고 이야기는 그다지 극적이지도

않고 그다지 마무리짓는 것 같지도 않게 끝나버린다. 뭔가가 허전해. 한 편의 이야기를 끝까지

본 게 아니라 이야기를 한참 보고 있다가 마지막회를 남겨두고 그 이상은 볼 수 없게 된 것

같다고나 할까. 이야기는 그냥 이야기로 끝내야겠지. 그게 작가가 바란 것일 것 같다.

작은 이야기를 거창하게 끌어다 이게 우리네 삶이다, 지금 시대가 이렇다 하는 게 아니라

그저 아, 그런 이야기가 있군요. 그 이야기를 읽으니 마음이 참 어떻군요, 하고 가벼이

여기고 지나가야지. 왠지 그러지 않으면 난 이 이야기 속에 갇혀 버릴 것 같거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