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일 나다 - 첨단 패션과 유행의 탄생
조안 드잔 지음, 최은정 옮김 / 지안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스타일 나다. 태양왕 루이 14세가 제대로 스타일 낸 이야기이다.

그리고 그가 낸 스타일들이 현재까지 이어져 온다거나, 그 기원이 되었다거나,

기폭제가 되었다거나 한 이야기들이다.

 

태양왕의 스타일에 대한 집착으로 인해 프랑스 파리는 패션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리고 왕의 뜻에 부응한 사람들은 어느 한 분야의 장인이 되거나 마케팅 담당자가 되거나

하는 식으로 자기 자리를 찾아 갔다. 왕의 뜻과 그 뜻에 충실한 사람들이 빚어낸 프랑스 스타일.

그리고 태양왕의 거시적인 안목이 결합하여 프랑스를 특별한 나라로 만들어 버렸다.

 

루이 14세는 전체적인 안목을 가지고 있었다. 협소하게 어느 특정한 것에만 집착한 것이 아니라

머리부터 발끝까지 조화를 이룬 전체적인 스타일을 원했던 것이다.

예를 들면, 현대인들이 티셔츠를 한 장 사면 그 티셔츠에 어울리는 바지가 필요하고

또 그 옷에 어울리는 신발이, 헤어스타일이, 악세사리, 등등이 필요한 것처럼

태양왕 루이 14세 또한 헤어부터 뮬에 이르기까지 그 어느 하나 놓친 것이 없었다.

그리고 그의 거시적인 안목이라 함은 이를 통해 돈을 벌어들일 수 있음을 알아챘고

실제로도 이로 인해 막대한 부를 창출했기 때문인다. 그리고 이는 지금까지도 유효하다.

 

사실, 책을 읽는 내내 태양왕의 사치에 입이 딱딱 벌어졌다.

파리 시민들이 빵 한 조각 살 돈이 없어 절규하고 있을 때 마리 앙투와네트가 그럼 케이크를

먹으면 되지 않느냐고 했던 말이 절로 생각날 정도로 가난한 시민들은 어찌하고 나라의 돈을

저리 축내나 싶을 정도로 루이 14세는 스타일에 막대한 돈을 쏟아 붓는다.

이에 대해 이 책에서는 태양왕의 이러한 취향으로 인해 결국엔 태양왕이 관심을 보인 분야가

세계 최고가 되었다는 것으로 그에게 면죄부를 주고 있다. 태양왕이 스타일에 관심이 있기도

했지만, 전략적으로 그 산업들을 부흥시켜 그저 그런 나라이던 프랑스를 패션의 중심지,

관광의 중심지로 만들고 그로 인해 막대한 부를 창출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막대한 부를

가지고 끊임없이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자신의 스타일을 위해 어마어마한 돈을 지불하는 등,

과연 그 면죄부가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 지는 의문이다. 이애 대해 또 이 책에서는 지금의

프랑스가 루이 14세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는 것으로 면죄부를 주고 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혼란스러웠다. 그만큼 많은 스펙트럼을 가진 책이라는 생각이다.

패션과 유행에 관련된 산업에 속한 사람이나 이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그들만의 시각으로

이 책을 바라볼테고 마케팅 관련 산업군에 속한 사람이나 이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또 그들만의

시각으로 이 책을 볼 수도 있겠다. 그리고 프랑스라는 나라와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또

그들만의 시각으로 볼 수도 있을테고 소외 받는 사람들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또 그에

대한 생각이 많을테고. 나는 여러가지로 관심이 많아서 읽는 내내 머리속이 많이 복잡했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정보는 정보대로 취하고-아, 이렇게 해서 이런 스타일이 형성 됐구나,

이런 산업이 발생했구나, 그대부터 이런 마케팅이 있었구나, 등등..- 생각은 생각대로-뭐 이런

것들이, 서민들은 굶어 죽어? 이러면서- 하면 되지.

 

여하튼 첨단 패션과 유행을 프랑스 태양왕 루이 14세를 키워드로 잘 풀어낸 책이니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재미도 있고 많은 도움도 될 법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