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두교 : 왜곡된 아프리카의 정신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 41
라에네크 위르봉 지음 / 시공사 / 1997년 5월
평점 :
품절


부두교가 대체 뭔지도 모르면서 왠지 금기를 대하는 듯한 스릴에 이끌려 이 책부터 빼들었다.

부두교. 아프리카의 토속신앙 정도로 말할 수 있다. 그들의 의식은 문명인의 눈으로 보기엔

수상쩍기 그지 없지만 그들의 풍습이자 문화인 걸 어찌하랴.

내가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부두교는 이중적인 모습을 띠고 있었다.

첫째는 아프리카 노예들을 해방시킨 독립의 힘, 자유의 힘이었고

둘째는 오히려 부두교로 인해 핍박당한 억압의 힘이었다.

그리고 이는 주로 그 당시의 집권자의 이해관계에 얽혀 때로는 자유의 힘이 되기도

때로는 억압의 힘이 되기도 했다. 어딜 가나 종교와 정치권력은 함께 하는가보다.

그리고 부두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이어지는데 부두교에 대한 의식절차나 그 의식,

상징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알게되면 놀라우리만치 우리네 제사 의식이랄까, 조상에 대한

의식, 상징과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우리의 장례 풍습과 그들의 장례 풍습의 유사성을 들 수 있는데 장례를 통해 죽음과

삶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죽은 이를 죽은 이로써 인정하며 그를 죽은 이로써 섬기는 것이나,

산 사람은 또 산 사람대로 삶에 대한 의미를 깨달으며 살아가게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부두교에서는 주로 르와(정령)를 모시는데 르와에는 주로 신화 속의 존재나 자연물,

그리고 죽은 조상 등이 있다. 장례를 통해 죽은 조상을 르와와 같은 위치에 놓고 그를 잘

섬기고 모시면 그가 산 사람들에게 복을 베푼다는 것이다. 때로는 꿈에 나타나 어떤 계시를

하기도 한다. 우리가 조상님을 섬기는 의미나 그리고 조상님 꿈을 꾼다는 것과 유사했다.

그리고 운강이나 망보는 이러한 의식, 주술 등을 행하는 자인데 이들은 인간과 르와의

중개자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들이 운강이나 망보가 되는 과정이나 운강이나 망보가 되어

하는 역할을 보면 우리네의 무당이나 신내림 등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무척이나 놀랐다고나 할까. 부두교라고 해서 염소, 닭피 등을 뿌리면서 춤추고 하는

미친사람들의 집단 쯤으로 알았으나, 알고 보니 그들의 의식 형태는 다소 충격적일지라도

그 의미나 상징은 우리네와 크게 다르지 않으니 말이다. 그리고 우리네 굿판도 춤추고 죽은

이의 혼이 무당의 몸 속에 들어와 말하고 심하면 칼 위에서 춤추고 하는 걸 보면 우린

부두교더러 손가락질 못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그들의 풍습이고 그들의 정신인 걸

인정해야지. 기독교와 다르다고 해서, 그것이 우상숭배로 보인다고 해서, 기독교의 잣대로

서양인의, 문명인의 잣대로 아프리카의 정신을 단죄해도 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베베라고 해서 상징적인 문양이 있는데 이걸 미술사 쪽으로 풀면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를 들면, 클림트의 그림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클림트 그림 속 상징들을

풀어서 이야기 해 놓은 책이 있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부두교와 관련된 미술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그 작품 속에 차용된 베베 문양이랄까, 그 베베 속에 깃든 상징이랄까,

이런 쪽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면서 부두교에 대해 설명해도 참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몰라서 그렇지 이런 책 있을 지도 몰라. ㅎ

 

참, 이 책 뒷쪽에는 이 책을 쓰면서 모았던 자료들이 첨부되어 있는데 기록과 증언이라고 해서

원문을 실어놓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