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코의 낙타와 성자
엘리아스 카네티 지음, 조원규 옮김 / 민음사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여행 에세이 쯤 되는 이 책에서 나는 모로코라는 생소한 나라의 풍물보다는

엘리아스 카네티라는 한 사람의 내면을 발견하였다.

모로코라는 나라의 풍물은 엘리아스 카네티의 내면을 드러내 놓는 매개물이었다고 할까.

모로코의 이곳 저곳, 이것 저것을 저자가 본 대로 설명해 놓고는 있지만

실상 내 마음에 와 닿았던 것은 그것들을 바라보는 그것들을 통감하는 저자의 마음이었던

것이다.

 

따뜻했다. 내게 다가온 저자의 마음은.

낙타를 바라보는 그의 눈은 어쩌면 많은 이의 눈이 그러할 수도 있겠다.

내가 그를 따뜻하다 여기었던 건, 그걸 식상하게 보아 온 그 곳 사람들의

눈도 아니었고, 그저 신기한 풍경인 양, 열심히 눈에 담아 가려는 성실한 여행자의

눈도 아니었고, 낙타를 바라보며, 낙타와 통감할 수 있는 그런 눈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아무래도 사람은 동물에게 더 관대한 걸까.

저자는 그 곳 사람들도 낙타와 같은 눈으로 보곤 하지만 모든 이를 그런 눈으로만 보진 않는다.

앵글로섹슨족의 자부심이랄까, 우월감이랄까, 이런 것들이 드러나 보이기도 하고

은근히 인종을 가르기도 하고 인종의 우위랄까, 그런 것들을 자신이 그렇다 주장하진 않더라도

이미 그런 것들이 통용되고 있음을 말하고 있는 저자를 보면서, 역시, 그런 우월감은 어쩔 수

없는 거구나, 라는 생각도 해 보았다.

 

여행에세이라고는 하지만, 여행에세이라는 것은 저자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여행했느냐에

따라 글의 분위가가 달라진다. 이 책은 딱 부유한 여행기이다. 부유한 저자가 부유한 상황에서

보고 듣고 관찰한 것이라 아무래도 좀 여유롭고, 사색 마저도 뭔가 좀 느슨한 듯한 느낌이랄까.

무작정 도전의식, 힘들게 발견한 삶에 대한 이야기, 자아성찰, 뭐 이런 것들은 그다지 느껴지지

않았다. 사물들을 마냥 신기하게 바라보고 열광하는 성실한 여행자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흥미진진 하다거나 진솔하다거나 한 여행기도 될 수 없다는 것.

 

느슨하고 여유로운 그의 여행기를 보면서..

어쩌면 내가 꿈꾸는 여행이란 것도 이런 것이지 않을까 싶었다.

무언가를 막 느끼고 체험해야만 한다는 압박감이나 촉박한 시간에 쫓기지 않고

느긋하게 한 곳에 정착해서 그 사람들의 삶의 여기저기를 들여다 보는 것.

그러면서 이런 저런 사색도 해 보고 말이지. 이 책을 읽고 얻은 것이라면

이런 소박한? 소망이랄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opin 2006-12-20 08: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행은 그런게 좋죠...
여기저기 다니는 것 보단 돈 많이 가져가서 바닷가에 콘도 잡아서, 해변에서 느긋하게 하루 종일 노는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