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의 공부 - 장정일의 인문학 부활 프로젝트
장정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시험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벌써 다 읽었다니, 꽤 잘 읽혔고, 재밌게 읽었나보다 싶다.

저자는 서문에서 자기가 조금 공부하고, 그 다음은 독자가 이어서 하라고 주문하고 있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지금까지의 내 공부법을 되돌아보고, 저자의 공부 방법에 비춰보아

나의 공부 방법을 다시해야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이 책을 읽고 느꼈다고 해서, 꼭 이 책처럼 주제별로 묶어서 책을 읽고난 후,

그 책들에 대한 독후감을 쓰겠다는 건 아니다. 내가 말하는 공부 방법을 달리 하겠다는 의미는

장정일의 공부 방법을 통해, 책을 읽으며 어떤 식으로 비판을 가해보아야 하는가,를

생각해 보았고, 또 그 책의 주제나 지식에 대해 내 나름의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는 것이다.

어찌보면 지금까지 나의 독서법은 그저, 읽었음,이었다.

전문서적을 보면서도, 인문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등..을 그저 소설책 읽듯이,

어떤 책을 읽었음과 이 책을 읽고 이런 생각을 해 봤다, 이런 식으로 끝났던 것이 나의

독서법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장정일은 '공부'라는 화두를 던져 주었고, 내가 지금까지

바라던 바는 무언가를 읽었음이 아니라 그 읽었음을 통해 나를 키워가고 발전시켜 가고

싶었다는 걸 상기해 볼 때, 지금까지의 나의 독서법에 대한 반성과 앞으로의 독서법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을 얻었다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공부에 대해서..소설이나 그저 재밌게 읽고

싶은 책들까지 이렇게 읽을 생각은 없다.)

 

장정일은 여러가지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그가 써 왔던 독서일기들까지

생각해보면 상당히 많은 양의 책들을 상당히 많이 사유해가며 읽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형식이 독후감이다 보니 해당 책이나 영화에 대해 읽지 않고서도 읽은 것 같이,

보지 않고서도 본 것 같이 느낄 수 있도록 기술해 놓았으나, 장정일이 주문하는 것이

자기가 조금 해 놓은 공부를 이어서 하는 것임을 상기해 볼 때, 이 책의 요는

장정일이 요약해 놓은 어떤 책이나 영화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 책들을 읽고

장정일이 생각해 보았던 바, 비판하고 있는 바에 대해 장정일의 생각을 따르는 것이 아닌,

나만의 생각을 정리하고 또 재정립해 보고 부족한 것은 더 공부해 보고 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장정일은 여러권의 책을 읽고서 독후감을 쓰고 있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장정일의 소신이나 가치관에 따른 것이라기 보다는 그의 지식의 축적에

따른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던 부분도 있었다. 그러하기에 또 다른 지식을 접하게 되면

아, 지금까지 내가 잘못 알았다, 이런 것임을 알았으니 이젠 이렇게 생각한다, 라고

말하게 된다. 글쎄, 어찌보면 자기가 알고 있는 것만이 옳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닌

적당히 유연성을 갖춘 모습으로 비춰질수도 있지만 이는 자칫 잘못하면 독자가

어떤 책을 접했느냐에 따라서 자신의 가치관이나 신념에 따른 사유보다는 그저 그 책의

지식들만 축적하고 그에 따라 자신이 알고 있는 것들을 줄줄  늘어 놓는 것 밖에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물론, 이건 타인에 대한 우려라던지, 장정일에 대한 우려가 아닌, 앞으로 공부를 해 나갈

나 자신에 대한 우려임을 밝혀둔다. 이런 점에 주의 하면서 공부를 해 나가야 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opin 2006-12-13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skyceti 2006-12-14 0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잘 지내셨어요?

Chopin 2006-12-20 08: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시험도 끝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