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 평전 - 세계적인 석학 자크 아탈리의
자크 아탈리 지음, 이효숙 옮김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우선, 나는 이 책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다.

막연한 두려움이 아니라, 이미 마르크스의 사상이라는 책을 읽어본 터라 한번 겪어본 감정을

또다시 겪진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그런 두려움을 안고서 이 책을 대했지만

읽는 동안 그런 생각은 하지 않았다. 그리고 후반부로 갈수록 이 책에 대한 신뢰감이 생겼다.

이전에 읽었던 책들에서는 마르크스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움찔하며 마르크스가 비판하고

있는 이론이나 상황들에 나 자신을 대입해 보면서 괜히 상처 받았던 반면, 이 책을 읽으면서는

그런 것은 느낄 수 없었다. 그만큼 주장, 어떤 것이 옳다는 주장보다는 마르크스라는 한 개인의

삶과 그가 주장 했던 이론들을 담담히 서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나는 지난 번과 같은

심적 타격을 입은 것이 아니라, 마르크스에 대해서, 그의 사상에 대해서 이해가 좀 더

깊어졌음을 느낄 수 있었다.

 

물론, 세계적인 석학이라는 자크 아탈리의 견해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은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6장까지는 사실에 대한 추적과 설명을 주로 하고 있다.

마르크스의 집안배경부터 시작해서 마르크스의 출생에서 죽음까지, 그의 개인적인 생활과

정치적인 행동들, 저술활동, 그의 친구, 그의 적, 그를 둘러싼 음모, 등등을 다루고 있다.

물론 여기서 중요한 것은 마르크스의 사상과 그 사상의 뿌리, 그리고 마르크스가 그 속에서

어떻게 생각을 키워가고 발전시켜나갔는지이다.

 

그리고 7장에서는 마르크스 사후 그의 원고들의 행방과 그의 가족, 그와 관련된 사람들의

행보에 대한 이야기와 이후 마르크스를 변질 시켰던 사람과 그들의 거짓말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리고 마르크스와 그의 사상, 그를 변질시킨 거짓말쟁이들에 대해

자크 아탈리의 견해가 담겨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이 부분을 불편하게 받아들일 수도 있겠지만, 세계적인 석학이라는 자크 아탈리는

이 마르크스라는 사람의 생에를 추적하고 그의 이론들을 해독하며 그의 평전을 내 놓으면서

결국엔 마르크스에 대해 인간적으로 어떻게 느끼고 있으며 마르크스의 이론에 대한

자크 아탈리의 견해는 어떠한지 알아 볼 수 있다는 것도 나쁘진 않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마르크스와 비교되는 인물이 있었는데 그는 바로, 반 고흐이다. 

반 고흐와 마르크스의 인생 배경과 그들을 지원해준 조력자, 그리고 당사자들의 인생과

지원자들에 대한 태도가 너무 닮아 있다고 할까.

반 고흐에게는 동생 테오라는 조력자가 있어 그의 재정과 예술활동 지원했으며

마르크스에겐 엥겔스라는 친구가 있어 그의 재정과 정치, 저술 활동을 지원했다.

그리고 마르크스에겐 평생의 동반자 아내 예니와 그의 아이들이 있었지만 어쩌면 이로 인해

마르크스가 더욱 비난받고 마르크스 사상이 더욱 변질되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여러 과학자들. 다이너마이트를 만든 노벨, 원자폭탄의 이론을 제공해 준 아인슈타인등의

과학자들.이들은 학자로써의 연구를 했을 뿐이고 나쁘게 이용하려고 만든 것은 아니었지만

결국, 그들의 결과물들은 다른 이의 손에 의해 인류 역사에 나쁜 방향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마르크스 또한, 최선의 인류를 꿈꾸었지만 그의 사후, 세계역사는 그의 기대가 아닌,

그의 우려대로 펼쳐졌다.

 

 

마르크스 평전을 읽으면서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그의 이론들을

어떻게 받아들였느냐 하는 것.

이 책을 읽음으로써 단순히 지적호기심을 충족시킨 것에 만족할 수도 있겠지만 좀 더 나아가

마르크스, 그의 생각을 쫓아 나 또한 생각을 해 보자면, 우선, 지금 내가 살고 있는 현 시대는 

일본의  정치학자 프랜시스 후쿠야마가 “사회주의나 공산주의가 쟈유주의나 민주주의 앞에

굴복한 오늘날이야말로 ‘역사의 종언’ 때이다” 라고 말했듯이 인류 역사의 마지막 시스템으로서의

자본주의가 아닌, 공산주의로 가는 과정으로서의 자본주의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이다.

 

현재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주의의 온갖 부조리가 드러나고 있으며 자본주의로 인해

양극화가 심화되어 계층간의 갈등 또한 심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 속에서 세계화는 현재진행형이다.

유럽이 통합되어 가고 각 지역이 통합되어 가고 진정한 의미의 세계화가 온다면 그리고 그 속에서

자본주의의 온갖 부조리로 인해 혁명이라도 일어나게 된다면 그 결과물이 마르크스가 말했던

모든 것과 일치 하진 않더라도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는 가능하리라는 생각이다.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가 마르크스가 말했던 것과 꼭 들어맞으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현재의

시대가 그 과정이라는 것에는 동의한다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아직까지도 정치경제학, 사회과학,

철학등에서 마르크스의 이론들이 유효한 것이 아닐까.

 

 

그리고 이런 생각의 밑바탕에는 인간을 모든 것의 중심에 놓아야 하며 인간은

기대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라는 믿음이 깔려 있는 것이다.

 

 

 

 

 

 

오자 신고.

p124 바싼 --> 비싼

p279 1952년 --> 1852년

p644 마르크스과 예니가 --> 마르크스와 예니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