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 미래 - 인구학이 말하는 10년 후 한국 그리고 생존전략
조영태 지음 / 북스톤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읽은 책 중 손에 꼽을 정도로 재미있고 신선했다.


이 책은 쉽게 반박하기 어려운데, 

첫째 반박하는 입장에서 인구학적 지식이 매우 부족하고, 

둘째 추측 내지 전망 가운데 영 글러먹었다고 볼 부분이 별로 없기 때문.


1부에서 인구학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4인가족이라는 이데아는 이제 버려야 한다(2025년이 되면 3인, 4인 가구를 합쳐봐야 30%를 넘기 어려울 전망이다. 47쪽)

동시에 소형아파트가 잘 팔릴테니 투자해야겠다는 어리석음도 버리라고 충고한다(대형아파트 가격이 무너지면 다른 평형 아파트도 같이 위험해질 가능성이 크고, 미래의 1~2인 가구는 아파트를 구매할 여력이 없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53쪽).

하고싶은 말을 분명히, 쉽게 전달하는 재주가 있다.


2부에서 저출산이 내 삶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려준다.

주로 교육문제에 국한되어 있다(지은이는 대학교수이고, 부인도 대학교수이며, 두 딸의 학부모이기도 하다).

많은 주제를 거론하기 보다 한 주제를 다양하게 살펴보는 방식이 좋았다.

학문적 예측을 자신의 일상과 조화시키고자 노력하는 모습도 인상적이다(그래서 나도 두 아이의 학원을 끊었다. 그 대신 서예학원을 보낸다. 92쪽).

그러는 한편으로 아이를 학원에 보내지 않아 불안하다 고백하는 모습을 보며 지은이와 진지한 대화가 가능해졌다.


3부에서 저출산에 더해 고령화가 어떤 의미인지 짚어본다.

2부의 충격이 가시기 전에 더 큰 쓰나미가.

'코호트' 개념을 설명하면서 세대간의 갈등, 부의 이전, 정치의 보수화, 건강불평등, 청년실업, 노동유연화, 인재 해외유출 같은 문제를 살펴본다.

놀랍게도 이러한 문제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비로소 인구학의 논의가 입체적으로 드러난다. 

베트남 얘기가 좀 많이 들어가 있는데 지은이는 이미 베트남에 대한 책을 쓸 정도로 관심이 많았나보다.


4부에서 저성장이라는 변수를 추가해본다.

연령구조를 살펴볼 때 우리나라는 생산가능 인구가 부족하고,

이것을 해결하려면 결국 해외유입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는 다문화에 대해 시스템과 인식 모두 부족해 걱정이다. 

다차원적응과 적극적 해외투자를 제시한다.


5부에서 다운사이징을 주장한다.

지은이의 논지가 분명하다.

출산율을 높이는 것은 궁극적인 해결방법이 될 수 없고, 인구감소를 받아들여 인구구성 변화에 맞는 새로운 사회를 설계하여야 한다(다운사이징은 비단 규모의 축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규모에 맞춘 새로운 체질을 발굴하고 개선하는 것을 가리킨다. 251쪽).

당연히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원론적인 차원에서 수긍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각자도생의 미래가 펼쳐지는 일을 막기위해 이 책을 썼다고 밝힌다.

그런데 불안하다...

과연 우리는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그럴 의지가 있는 것일까?


예전에 '풀하우스'를 읽으며 참 좋은 책이라고 생각했다.

반복 가운데 주장과 논거를 조금씩 변주해가며 설득하는 방식.

이제 사회과학 책 중에도 그런 책이 나왔다!


(편집에서 별을 하나 뺀 이유가 있다. 이 책은 표가 거의 없음에도 각종 통계치를 잘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참 대단한 능력이다. 하지만 간혹 통계치를 함께, 혹은 부록으로라도 실어주었다면 하는 아쉬움은 어쩔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