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나 인천에 사는 분이라면 일요일 아침 하늘 맑은 날 무의도에 가보십시오. 흐린 날은 소용 없습니다. 가봤자 아무 것도 안 보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무의도에 가는 이유는 산에 올라 다도해 같은 풍광을 조망하기 위함입니다. 

무의도에는 해발 200미터 정도 되는 작은 산봉우리 두 개가 있는데 능선에 오르면 바로 옆의 실미도와 멀리 이름 모를 섬 하나, 그리고 햇빛에 반짝이는 서해바다가 그림처럼 펼쳐집니다. 장담컨대 서울과 인천에서 1시간 내에 도착할 수 있는 산 중에 그처럼 멋진 조망을 가진 산은 없을 겁니다. 부둣가에서 회 한 접시 떠서 소주 한 병 옆구리에 차고 올라가 전망 좋은 능선바위를 차지하고 앉아 가족과 친구와 동료와 애인과 술잔을 기울이면 노랫가락이 절로 터져나올 겁니다. 하늘과 섬과 바다와 햇빛이 어우러져 빚어내는 조화가 참 대단합니다.

일단 무의도행 선착장은 영종도국제공항에서 차로 5분도 안 되는 거리에 있습니다. 공항까지 버스타고 가서 택시(거리는 코앞인데 요금은 엄청나게 많이 받습니다) 타고 가도 되고 편하기는 자동차로 바로 가는 게 편하겠죠. 휴일에는 차 대기가 어려우니까 무의도선착장으로 꺾어지는 큰길 옆 주차장을 이용하는 게 편합니다. 선착장에서는 5~10분 간격마다 배가 다닙니다. 차도 실어주지만 차 타고 들어갈 필요는 없습니다. 썰물 때는 배가 끊어집니다. 미리 전화로 배 안 다니는 시간을 확인하고 가면 기다릴 필요없어 편합니다.(032-751-3354).

배 타는 시간은 5분 미만. 무의도에 도착하면 바로 걸어서 등산로 입구를 찾으십시오. 능선따라 난 등산로를 찾아야 합니다.  등산보다 풍광에 관심있는 분은 능선을 한 10~15분 정도만 타도 됩니다. 가다 보면 커다란 바위가 나오고 그 바위에 올라서면 멋진 풍광이 펼쳐집니다. 계속 등산하실 분은 능선따라 계속 가면 정상이 나오고 또 가다 보면 다시 내려와서 찻길을 만납니다. 찻길 따라 우측으로 내려가면 해수욕장이 나오는데 모래도 좋고 예쁘고 아담합니다. 일몰에 맞춰 내려오면 여기 석양도 아주 멋집니다. 등산소요 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 반 정도입니다.

2주 전 일요일에 다시 찾았더니 영화 <실미도> 때문에 섬이 복작복작댔습니다. 한 다섯번쯤 가본 것 같은데 가본 중에 그렇게 사람이 복작대기는 처음이었습니다. 그래도 산에 올라가는 사람은 거의 없어서 한적합디다.

휴일 오전에, 어딘가 떠나고 싶은데 차는 막히고 마땅히 갈 곳 없을 때, 무의도만큼 가까이 편하게 아무 준비없이 다녀올 수 있으면서 차도 안 막히고 절경의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곳이 또 있을까 싶습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hika 2004-02-24 2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글을 보면.. 난 언제쯤 그곳에 가 볼 수 있을까... 부러워하기만 했었는데, 어제 우연찮게 사무실 하루 휴가받고 관광을 댕겨서 그런지 생각이 바뀌었답니다.
한라산 천백고지를 넘으며 눈꽃을 보며 겨울산의 아름다움을 보고, 산을 반넘어 지나가니 다시 햇살 넘치는 서귀포에서 이른 봄을 느끼고, 바람부는 산방산엘 가니 조금 이른듯한 유채가 활짝피어 완연한 봄을 느끼게 하고..협재 바다를 보며 막바지에 이른 겨울바다를 보았거든요.
겨울과 봄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에 산다는 것은 역시 큰 축복이겠지요? ^^;;

배바위 2004-02-25 14: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제주도에 사시는군요. 저도 chika님을 따라 천백고지도 거닐고 서귀포와 산방산을 다녀온 듯한 기분입니다. 겨울과 봄의 공존이라... 참 멋있습니다. 부럽습니다.

paviana 2004-02-28 2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무의도 입구에서 조개구이만 먹고 왔는데, 그러면 안 되는거였네요..진작 알았으면 좋았을텐데..갑자기 바다가 보고 싶어지는 날 시도해보겠습니다.제차는 경차라서 고속도로 요금도 별로 부담이 안 되니까...

배바위 2004-03-02 0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무의도 입구의 조개구이와 조개칼국수 얘기를 빼먹었군요. 참 맛있죠. 그 앞에 갯뻘에서 조개 파먹는 재미도 잊었네요. 조개를 잔뜩 파다가 집에 가서 모래 뺀 후 마늘만 넣고 그대로 국 끓여먹으면 천하일미입니다. 물론 조개 캐는 재미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요...

수련 2004-03-12 0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의도...갈매기...저도 추억이 서린 곳이죠...
오래전 일이네요~~
아이들과 갯뻘에서 뛰며 조개잡던 일이 떠오르네요.
그곳의 굴밥맛이 끝내줬었는데...

배바위 2004-03-12 1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의도 굴밥... 침이 넘어갑니다. 저는 먹지는 못했습니다. 입맛을 다시며 보기만 보고... 대신 동네 아주머니들이 직접 캐서 파는 자연산굴을 만원 어치 사와서 부모님도 드리고 우리 부부도 초장 찍어서 먹었는데 정말정말 맛있었습니다... 굴에 굴껍데기까지 여기저기 붙은 채로 와인 한 잔 꼴깍. 다시 침이 넘어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