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격의 고전 - 심청은 보았으나 길동은 끝내 보지 못한 것
이진경 지음 / 글항아리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다 보니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한 고전소설이 몇 편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뻔한 고전을 가지고 이토록 풍성하면서도 심도 있는 이야기를 풀어내는 저자의 능력이 놀랍다. 문학이론은 물론이고, 철학과 사회학을 넘나드는 지적 향연이 펼쳐진다. 인문학에 관심은 있으나, 아직 그 내공이 깊지 않은 독자가 택한다면 쉽게 빠져들 책이다. 내가 그러했다. 오랜만에 괜찮은 책을 만났다. 아직 독서를 마치진 못했지만, 저자가 가장 애착을 느끼는 고전은 아무래도 <심청전>인 것 같다. 그리고 본문에서 밝히고 있듯 저자의 평가가 가장 박한 것은 <홍길동전>이다. 그러고 보니 표지에 '심청은 보았으나 길동은 끝내 보지 못한 것'이라고 인쇄되어 있다. 과연 그것이 무엇일까?


저자에 따르면 <심청전>은 효를 설파하는 텍스트가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의 텍스트다. 피할 수도 있었던 죽음을 향해 끝까지 밀고나간 심청은 '효에 대한 요구를 과도하게 준수함으로써 그런 요구 자체를 어이없는 명령으로 만들어버리는 방법'을 택했다. 저자는 그 증거를 되살아난 심청이 집으로 돌아가지 않았다는 것에서 찾는다. 나는 이 대목에서 무릎을 쳤다. 효녀 심청은 눈 먼 아버지에게로 돌아가지 않았다! 대신 심청은 아버지를 포함한 맹인들을 집 밖으로 불러낸다. 심청의 아버지는 '집 밖'에서 눈을 뜬다. 저자는 여기서 '탈영토화'를 읽고, 나는 '살림'을 읽는다. 되살아난 심청이 아버지에게 전과는 다른 삶을 주었음을 읽는다. 오래 전에 보았던 신영복 선생의 <나무야 나무야>를 다시 읽어본다.


당신은 평강공주의 삶이 남편의 입신이라는 가부장적 한계를 뛰어넘지 못한 것이라고 하였습니다만 산다는 것은 살리는 것입니다. 살림(生)입니다. 그리고 당신은 자신이 공주가 아니기 때문에 평강공주가 될 수 없다고 하지만 살림이란 <뜻의 살림>입니다. 세속적 성취와는 상관없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런 점에서 나는 평강공주의 이야기는 한 여인의 사랑의 메시지가 아니라 그것을 뛰어넘은 <삶의 메시지>라고 생각합니다.


아버지와 다른 맹인들에게 새로운 삶을 선물한 심청과 달리 홍길동은 그 어떤 새로운 가치도 만들어내지 못한다. 길동을 움직이게 한 것은 신분제에 대한 반감이었으나, 그는 기존 체제를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어떻게 하면 왕의 인정을 받을 수 있을까를 고민할 뿐이다. 왕이 병조판서 자리를 준다고 하니 냉큼 와서 받는다. '율도국'도 새로운 나라를 세운 것이 아니라, 기존의 멀쩡한 나라를 침략해서 빼앗은 것이다. 무엇보다 홍길동은 '살생에 아무런 거리낌이 없다.' 자신을 죽이려던 자객과 그 공모자를 죽인다. 활빈당을 만들어 탐관오리들의 목을 벤다. 나중에는 죽일 이유가 전혀 없는 사람인지 '짐승'인지 알 수 없는 자들을 몰살하기도 한다. 홍길동은 원하는 바가 분명하다. 그것은 체제에 자신을 편입해 달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그는 죽이고 또 죽인다. 다시 <나무야 나무야>를 읽는다.


단종은 국왕이란 칭호가 어울리지 않는 어린이입니다. 상왕이란 칭호는 더욱 그렇습니다. 태어난 지 이틀 만에 어머니마저 세상을 떠난 고아나 다름없었습니다. 어린이를 왕좌에 앉히고 끌어내리고 다시 복위를 도모하고 유배와 죽음으로 몰아갔습니다. 세조의 왕권찬탈은 흔히 부도덕한 것으로 매도되고 단종복위를 모의하다 주륙당한 집현전 학사들은 선왕의 고명을 받든 충절의 사람들로서 추모됩니다. 그러나 세조의 주변에 결집한 세력의 사회적 성격은 무엇이며 그처럼 살벌한 상황에도 아랑곳없이 기어이 복위를 도모했던 집현전 학사들의 충절과 명분은 얼마만큼 정의로운 것인가 하는 의문을 금치 못합니다.


거칠게 말해서 심청은 살리고 길동은 죽인다. 내가 보기에 <심청전>의 전반부는 공동체(이 책은 '효'와 '공동체'라는 두 개의 키워드로 <심청전>을 읽는다.)가 그냥 두면 죽었을 심청이네를 살리는 이야기이고, 후반부는 심청이 눈 먼 자들을 살리는 이야기로 볼 수 있다. 반면 <홍길동전>은 길동의 일방통행 식 욕망이 뻗어나갈 뿐이다. 홍길동에게 타인은 자신을 인정해줄 자가 아니면, 그 인정을 위해 자신이 수단으로 삼는 자로 등장할 뿐이다. 신영복 선생이 집현전 학사들의 충절에 제기한 의문을 홍길동의 활빈당 활동에도 제기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심청은 타인에게 새로운 삶을 열어준다. 심청이 맹인들에게 새로운 세상을 보여준 것, 평강공주가 바보 온달을 용맹한 장군으로 일어서게 만든 것, 나는 이것이 '살림'이라고 생각한다. 심청은 보았으나 길동은 끝내 보지 못한 것은 바로 이 '살림의 기쁨'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기쁨을 맛볼 때, 사람은 다시 태어나는 것이라고 믿는다. 심청이 진정으로 다시 태어난 지점은 인당수에서 연꽃으로 떠오른 때가 아니라, 아버지와 맹인들의 눈을 뜨게 한 때라고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