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님께서는 입장은 立場이라고 하셨습니다. 중요한 것은 머리가 아니라 두 발이라고 하셨습니다. 선생님의 글을 읽고 저는 생각했습니다. 제 머릿속 생각은 저의 입장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입으로 내뱉는 말은 저의 입장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두 눈으로 바라보는 곳이나,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곳은 저의 입장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오직 제 두 발로 딛고 서 있는 그곳이 저의 입장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생각했습니다.


대학 시절 지하철을 타고 하교하는 중이었습니다. 통로 쪽에 있던 휠체어 한 대가 출입문 쪽으로 바짝 붙는 것이 보였습니다. 저는 다음 역에서 그 휠체어가 내릴 것이라고 짐작했습니다. 내리지 않았습니다. 다음 역에서도 내리지 않았습니다. 그 다음 역에서 저는 내렸고, 휠체어는 여전히 내리지 않고 있었습니다. 내리기 한참 전부터 출입문에 바짝 붙어있어야만 하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의 고충에 대해 저는 계단을 뛰어올라가며 생각했습니다. 그 생각을 끼적거린 시에 '나는 모른다'라는 제목을 붙였습니다.


몇 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뇌졸중으로 쓰러진 아버지가 뇌병변장애인이 되었습니다. 아버지는 휠체어를 탔습니다. 저는 휠체어 탄 아버지의 보호자가 되었습니다. 모든 것이 낯설고 힘들었습니다. 밥 먹고 씻는 일, 누웠다 일어나는 일, 진료실이나 치료실로 이동하는 일이 말 그대로 일이었습니다. 입원 병동이 아닌 다른 층에서는 장애인용 화장실을 찾는 것조차 어려웠습니다. 그나마 병원 안에서의 생활은 편한 것이었습니다. 병원에서 다른 병원으로, 병원에서 집으로, 집에서 병원으로 움직여야 할 때는 아버지가 장애인이 되었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실감해야 했습니다.


다시 몇 년이 흘렀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나는 모른다'는 제목은 겸손을 가장한 오만이었습니다. 어쩌면 그것은 저의 무지를 고백한 것이 아니라, 저의 생각을 선언한 것이었습니다. 저는 그때 모른다는 말조차 꺼낼 입장이 아니었습니다. 물론 저는 여전히 비장애인이므로, 제 입장은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여전히 생각합니다. 달라진 것은 없습니다.


한 번 쯤 선생님을 직접 뵙고 싶었는데, 그럴 수 없게 되었습니다. 가끔 선생님의 글을 읽곤 합니다. 그곳에서 편안하시길 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