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체공녀 강주룡 - 제23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박서련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소설을 읽었다. 실존 인물을 소재로 소설을 쓸 때에 생기는 작가의 고민을 생각한다.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하고, 별 의미도 없을 것이다. 을밀대 지붕에서 떨어진 '강녀'를 끌어올려 승천하는 '선녀'로 다시 명명하려는 시도. 이것이 작가의 고민의 결과였을까.
이름에 대한 나의 생각은 강주룡과 비슷했다. 내 남편 이름이 일본놈 다카시든 청나라 왕서방이든 무슨 상관인가. 이렇게 부르든 저렇게 부르든 내 남편이다. 작품 후반에 주룡이 정달헌에게 자신의 이름 뜻을 풀이해 들려주는데, 이는 남편에게서 들은 것이다. 용처럼 긴 허리로 세상을 두루 품어주라는 뜻. 작품이 진행될수록 주룡은 자신의 이름처럼 점점 세상을 알아간다. 그가 알아가는 세상은 그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이라고 해도 좋겠다. 조국 독립에 대한 절실함 없이 그저 남편을 따라 독립군에 가담했던 주룡이 동료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자본가의 착취에 분노하며 노동운동의 선봉에 선다. 이렇게 보면 이름이 중요하다는 것은 분명한 것 같은데, 아직 나는 확신이 서지 않는다. 주룡이 자신이 이름 뜻을 몰랐다면, 다른 이름을 가졌더라면 다른 삶을 살다 갔을까?
당신이 좋아서 당신을 독립된 나라에서 살게해주고 싶다는 남편 최전빈의 고백. 이것은 이 작품에서 가장 감동적인 말이었다. 화자도 쓰고 있듯 대의를 좇아서 산다는 것은 가정에 죄를 짓는 일이다. 이것이 나의 상상력의 한계였다. 둘 중 하나만 가질 수 있다는 생각. 하나를 희생해야 다른 하나를 얻을 수 있다는 생각. 그러나 전빈은 그 둘을 하나로 합하는 상상을 했고, 그 상상을 입 밖으로 꺼내서 듣는 사람을 감동시켰다. 적어도 내게는 그것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뒤에 가면 주룡이 비슷한 말을 한다. 내가 모던걸을 꿈꾸든 말든 관리자가 나를 이따위로 대하면 안 된다고. 모던걸을 꿈꾸는 사람과 노동운동에 투신하는 사람을 도저히 동일인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이 빈곤한 상상력. 좋은 작품은 내 상상력이 얼마나 보잘것없는지 알게해주고 상상력의 한계를 조금이나마 넓혀준다.
증여와 교환의 대상, 노동력 착취와 성적 희롱의 대상, 대를 잇게 해줄 '자궁'으로서의 역할. 작품의 배경인 일제시대 여성의 삶이란 이런 것이었다. 이러한 여성의 삶을 바꾸기 위한 싸움은 지금도 진행중인데, 이런 와중에 주인공 주룡이 주변 남성들을 끊임없이 관찰하고 평가하고 있다. 연하의 남편은 귀여운 외모에 내가 보살펴야할 남자고, 독립군의 백광운은 주룡이 아는 남자 중 그나마 쓸만한 사람이다. 백광운 휘하의 남자들은 주룡과 주룡의 남편을 희롱하며 저희들끼리의 연대를 다지는데, 주룡은 여기에 항의하며 독립군에서 나온다. 뒤도 돌아보지 않고. 후에 집에서 나와 '독립'을 할 때는 아버지에 대한 평가가 주된 이유로 제시된다. 가족은 돌보지 않고 남들 시선만 의식하는 사람, 딸을 재산과 바꿔 편하게 살아보려는 사람. 여러 남자들 중에서 무능하고 이기적인 아버지에게 주룡이 내리는 평가는 압권이다.
감옥에 갇힌 정달헌의 머릿속에서 주룡이 죽는 장면부터 시작하여 을밀대 지붕 위로 올라가는 장면까지 거꾸로 재생된다. 정달헌은 올라가지 말라고 외친다. 올라가면 죽는다고. 주룡은 답한다. 알고 있다고. 주룡은 알면서도 간다. 그런데 주룡은 앞뒤 재고 따진 다음 움직이는 사람이 아니다. 독립운동에 나설 계획이라는 남편의 말을 듣고서 남편을 더 키워 더 큰 뜻을 펼치게 해주겠노라고 말할 때도, 친구 홍삼이가 노조 결성 방해공작이 두려워 탈퇴를 하자 자신이 홍삼이 대신 들어가겠다고 말할 때도 그렇다. 주룡은 즉흥적으로 자신이 무슨말을 하는지도 모르는 채로 '궤변'을 늘어놓으며 움직인다.
알면서도 간다는 주룡의 말은 어쩌면 자신의 선택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말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마땅히 도래할 어떤 이상에 대한 열정과 내 몸과 같은 이웃을 향한 사랑. 이것은 주룡 자신도 어쩔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주룡은 알면서도 간다. 나는 이렇게 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 작품이 좋았나보다. 알면서도 가는 것, 생각해볼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