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모임에서 <복화술사들>이라는 책과 함께 식민지 시기 한국 소설을 읽었다. 순 한글로 소설을 쓰고 읽는 일이 자명한 일이 아니었다는 논의, '국어'나 '국문학'이란 개념이 분명하게 손에 잡히는 명확한 것이 아니라는 논의. 기억해야겠다. 이런 현실 속에서 소설이란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그 소설에 문명개화라는 담론을 비롯한 여러 고뇌와 반성을 담아내려 했던 당시 작가들의 눈물겨운 고군분투. 역시 기억해야겠다.
예전에 읽었던 신영복 선생의 <담론>을 다시 읽을 일이 있었는데 이런 말이 있었다. 좋은 것이 없는 것이 아니다. 없는 것은 나의 안목이다. 좋은 것은 좋은 사람 또는 좋은 물건 또는 좋은 작품일 수도 있겠다. 한국문학에 좋은 작품이 없는 것이 아니었다. 그걸 알아보는 내 안목이 없었을 뿐. 최명익, 김남천, 김사량, 허준과 같은 작가는 그 이름도 몰랐거나 이름만 알고 있다가 처음 읽어보았다. 이태준과 김유정은 다시 읽어보니 전보다 더 좋았다.
전에는 안목을 능력의 문제라고 생각했다. 능력이 있어서 알아보거나 능력이 없어서 알아보지 못 하거나의 문제. 요즘은 이것이 어쩌며 태도의 문제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부정적인 면보다는 좋은 면을 먼저 보려는 태도, 작가가 놓여있던 한계와 그 한계에서 한 걸음이라도 나아가기 위해 몸부림쳤던 작가의 노력을 알아주려는 태도. 이를테면 이인직, 이광수, 김동인 같은 작가들이 한국인으로서 한국어를 가지고 소설이란 것을 처음 쓴다는 일의 어려움 같은 것.
전문가가 이끄는 독서모임에서 몇 년 째 소설을 읽다보니 내 생각이 조금씩 바뀌는 것을 알겠다. 거기에 따라 내 태도도 바뀌고 있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