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요타 방식 - 위대한 기업 도요타로부터 배우는 14가지 경영 원칙
제프리 라이커 지음, 김기찬 옮김 / 가산출판사 / 2004년 6월
평점 :
품절
도요타 생산 방식에 대한 말이 요즘 많이 회자되고 있다. 아마 6시그마와 더불어 경영혁신 프로그램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도요타 생산 방식일 것이다. 이 책은 도요타 생산방식이 무엇이고, TPS(도요타 생산 시스템)를 어떻게 자신의 사업분야에도 적용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고 있다. 본질적으로 TPS의 아이디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며, TPS의 형식이라할 수 있는 린의 도구들을 같이 설명하고 있다.
저자가 제시하는 도요타생산방식의 14가지 기본원칙은 다음과 같다.
1. 단기적인 재무 목표를 희생해서라도, 장기적인 철학에 기초하여 경영 의사결정을 하라
2. 문제를 표면에 드러내기 위해 지속적인 프로세스 흐름을 만들어라
3. 과잉 생산을 피하기 위해 풀 시스템을 사용하라
4. 작업 부담을 평준화하라(헤이준카, 토끼가 아니라 거북이처럼 일하라)
5. 문제 해결과 품질 최우선을 위해 스톱 문화를 구축하라(지도카, 안돈)
6. 표준화된 업무는 지속적인 개선과 종업원에게 권한을 위임하는 토대이다
7. 어떤 문제도 숨겨지지 않도록 시각적 관리 기법을 사용하라
8. 종업원들과 프로세스에 도움이 되는 신뢰할 수 있고 철저히 검증된 기술만을 사용하라
9. 작업을 철저히 이해하고, 철학을 가지고 살며, 다른 직원에게 그것을 가르치는 리더를 육성하라
10. 회사의 철학을 이행하는 뛰어난 인재와 팀을 개발하라
11. 도전하게 하고 개선을 지원함으로써 파트너와 부품업체로 하여금 그들과의 확장된 네트워크를 존중하라
12. 상황을 철저하게 이해하기 위해 자신이 직접 가서 보라
13. 모든 대안을 철저히 고려하여 합의가 될 때까지 천천히 결정을 하라. 그러나 실행은 신속히 하라
14. 냉정한 반성과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학습 조직이 되라( 5why, 카이젠, 한세이)
저자는 렉서스와 프리우스(도요타의 하이브리드카, 전기충전과 모터를 병행사용하여 연비를 획기적으로 높인 모델)의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도요토생산방식의 개요를 설명하고, 14가지 원칙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각각한 후에 다른 산업에 TPS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마지막에 설명한다.
책을 읽어보면서 TPS를 접하면서 느낀 생각은 많은 부분에서 6시그마와 유사하지만, 6시그마는 구체적인 문제해결의 방법론과 툴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는 느낌이 강하고, TPS는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개선하겠다는 철학의 기반이 튼튼하며, 조직 구성원의 합의에 기반해서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실천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후반에서 소개하고 있듯이 린시그마란 것도 나왔다고 할정도로 어쩌면 TPS와 6시그마는 밀접하게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동양의 문화는 어떤 장인적인 기술에 천착해서 고수가 되려는 문화가 있다라고 생각한다. TPS는 기업 경영, 기업의 부가가치 생산에 있어서 절대적인 경지에 이르려는 인간의 욕망을 구체화한 하나의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프로세스를 중시하고, 따로 따로 노는 것처럼 보이는 일들을 일체형 흐름을 갖게하면서, 반복적인 프로세스에서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부분을 집중화시켜서 효율을 높이는 아이디어는 많은 업무영역, 특히 정보를 가공처리하는 지식근로업에 적용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가가치 흐름도라는 아이디어가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만약 우리의 경쟁자가 린의 철학으로 무장하고, 린을 회사전체에 적용했을때는 소름 끼칠 정도의 위기감을 느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먼저 TPS를 도입하고, TPS가 주는 함의를 진정으로 깨닫고, 자신의 회사에 맞는 방법을 마련해야한다는 생각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