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희망보고서 유한킴벌리
KBS일요스페셜 팀 취재, 정혜원 글 / 거름 / 2004년 7월
평점 :
품절


이책은 유한킴벌리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없는 KBS일요스페셜팀에서 낸 책이다. 어쩌면, 그점이 제일 아쉬운점이다. 너무 객관적이고, 그리고, 국외자의 시각이기 때문에 좀더 리얼한 어려움이나 그 해결 과정은 자세히 드러나지 않는다. 유한킴벌리의 문사장이 자서전을 썼더라면, 더욱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든다.

유한킴벌리는 3조3교대라는 전통적인 제조업의 업무방식은 4조3교대, 혹은 4조2교대라는 혁신적인 방법으로 근로자의 여가시간을 늘림으로서, 생산성 향상을 꾀한 사례를 가지고 있다.

신문을 통해서 어떻게 근로자들이 일년의 반을 쉬면서도 생산성이 향상이 될 수 있는지 궁금했었는데, 이 책을 보면서 그런 궁금증이 풀리게 되었다. 비밀의 열쇠는 인건비는 4조2교대로 인해서 올라가지만, 고정자산의 활용률을 높임으로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데 있다.

즉, 비용에서 고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을 줄이고, 대신 인건비를 늘리는 것이다. 직원들에게 충분한 여가를 줌으로서, 좀더 많은 사람을 고용하고, 일하는 시간의 집중도를 높이는 대신, 공장을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돌리도록 한것이다. 그리고, 충분한 여가를 활용하여 직원들이 평생학습을 통해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도록 한것이다.

문사장은 이러한 방법이야말로, 현재 고용없는 성장의 위기에 직면한 한국경제를 회생시키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아주 전략적인 방법이라고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공장 말고, 사무직에서 일하는 지식근로자의 생산성은 어떻게 높일것인가의 문제에 고민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