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람에게 투자한다 - 워렌 버펫의 투자 인생
마키노 요 지음, 신동기 옮김 / 시아출판사 / 2002년 9월
평점 :
품절


이책은 읽기 쉽게 워렌버펫에 대해 쓰여진 책이다. 워렌버펫의 투자에 대해서, 주주중심 경영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워렌버펫의 글이나 말을 인용하여, 혹은 다른 기업경영인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설명하고 있다.

책의 도입부분은 워렌버펫의 전기처럼 되어 있다. 어린시절과 주로 워렌버펫의 투자경력에 초점을 맞추어 그가 어떻게 이력을 쌓아갔는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뒷부분으로 갈 수록 워렌버펫의 가치투자 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그가 투자한 회사에 대한 소개와 워렌버펫의 투자 사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다. 특히, 몇몇 회사에 대한 소개는 왜 워렌버펫이 그 회사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를테면, 월트디즈니, 살로만, 코카콜라에 대한 회사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섹션을 할애해서 회사 자체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특히, 이 책에서는 대주주가 오너처럼 행동하는 것의 중요성, 그리고, 경영자는 주주의 자본을 위탁받은 책임을 가진 사람이라는 인식이 중요하고, 주주자본 역시 비용이 있다는 EVA 개념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현대 경영의 시류가 기업지배구조 즉, 이사회의 구성을 대표이사와 독립적으로 가져감으로서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과거에는 주주자본은 비용이 없는 것으로 인식해 왔으나, 주주자본이야말로, 주주들이 기대하는 요구수익률을 꾸준하게 달성함으로서 주가를 상승시켜야하는 책임을 경영자가 주주자본의 수탁자로서 지어야한다는 점을 명확히 이야기하고 있다. 주주들의 돈을 가지고, 기대하는 수익률을 낼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는 사업으로 다각화를 함부로 함으로서 수익률을 떨어뜨리는 경영자는 더이상 시대가 요구하는 경영자가 아닌것이다. 수익성이 있는 사업에 재투자되기 힘들다면, 자사주를 매입해서 주주자본을 줄임으로서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꾸준하게 노력해야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다면 자연스럽게 주가는 상승할 것이다.

특히, 성숙산업이면서도 코카콜라는 대규모 설비투자를 필요로하는 부분은 분사하고, 끊임없이 자사주를 매입하고, 한우물을 파고, 혁신을 시도함으로서 자기자본이익률을 50%가 넘도록 유지함으로서 한때 GE의 시가총액을 위협하기도 했다는 점이 놀라웠다. 역시, 산업이 성숙했다는 것은 그 산업내에 속한 플레이어들의 혁신이 일시적으로 멈추었다는 이야기이지, 고객의 니드가 존재하는 한은 성숙산업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경쟁력있는 기업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주주 중심의 경영을 해야함을 다시한번 되새기게 해준 책인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