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바꾸는 글쓰기 공작소 - 한두 줄만 쓰다 지친 당신을 위한 필살기 ㅣ 이만교의 글쓰기 공작소
이만교 지음 / 그린비 / 2009년 5월
평점 :
이 책은 <결혼은 미친짓이다>의 작가인 이만교씨가 글쓰기 강좌를 진행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책이다. 리뷰어는 이 책을 손에 들고 읽기 시작한 이후 멈출 수가 없을 정도로 몰입하게 하게 되어 하루만에 다 읽게 되었다.
이 책을 읽고, 스스로의 글쓰기를 돌아보면서 부끄러워졌다. 독서 리뷰를 쓰면서 블로그에 기본적인 글쓰기에 대한 훈련도 하지 않은채 글을 써내려가서, 많은 비문으로 우리 국어를 혼탁하게 하는데 일조한 것 같아서 쑥쓰러워졌다.
글쓰기란 '자신의 느낌'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저자는 독서 방법을 설명한다. 좋은 글쓰기를 위해서는 최소 1000권의 책을 읽어야할 것이라고 말한다. 글쓰기를 잘하기 위해서 씨앗문장, 씨앗도서를 찾는 방법 등 좋은 독서 방법을 알려준다. 특히, 책을 억지로 읽을 것이 아니라, 정말로 좋은 책으로 자신을 둘러싸고, 언제든 읽고 책에 밑줄을 쳐가며, 열정적으로 읽을 수 있는 독서목록을 가지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부분에 공감이 갔다.
그리고, 리뷰어가 반성을 하게 된 부분은 저자가 일상언어와 출판언어의 차이를 강조한 부분이었다. 사람들이 마치 음치 처럼 말과 글의 사용법을 잘 모르는 '언치'상태에 있다고 지적하면서 사례를 들었다. 일상언어에서는 반복, 잘못된 주어와 서술어 호응이 용인이 되지만 100% 글로만 승부해야하는 출판언어에서는 좀더 주의력있게 글을 사용해야한다는 점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 소설, 산문을 쓸 때 주인공과 화자의 입장에서 좀더 상세하고, 감수성이 살아 있는 글을 쓰는 것에 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언어습관에 의해서 상투화된 감수성이 살아있지않은 다수언어를 가지고 글을 쓰는 것이 왜 진부하고, 좋은 글쓰기가 아닌지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낯설게 하기, 소수언어 구사하기, 환유와 은유의 직조, 언어적 감수성, 실질적 정직 등 글쓰기와 관련해서 꼭 생각해볼 주제에 대해서 잘 설명하고 있다. 리뷰어에게 특히 도움이 된 것은 습작수준의 글과 저자가 보완을 해서 바로 비교가능하게 글을 병치시켜서 직접 눈으로 보고, 잘 쓰여진 글이 어떤 느낌을 주는가를 직접 보게해 준 것이었다.
최근에 읽었던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와 같이 읽게 되어서 글쓰기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