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의 소설은 마치 영화와 같이 재밌다. 이 책이 그런데, 빠른 진행, 화면이 그려지는 것 같이 전개되는 이야기에 책을 손에 든 순간 뗄 수 없을 그런 책이다. 이 책의 스토리는 책 제목 그대로다 아내가 결혼했다는 것이다. 처음에 이 책을 손에 들었을때 '아내가 결혼했다'는 제목이 무슨 은유인줄 알았다. 하지만,  책을 읽어 내려가면서 저자가 정면으로 현재의 일부일처제도에 도전하는 스토리를 유쾌하게 담아 풀어가고 있음을 알게되면서 놀랐다.

우리는 옳고 그름의 관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그런 생각과 다른 사람의 행동이 충돌할때 갈등을 겪는다. 특히,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자신이 옳다고 느끼는 것을 당연하다고 느끼는 것을 동의하지 않고, 다른 행동을 한다면 화가 나고 분노하게 된다. 나와 생각이 다른 남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공존할 것인가의 문제를 생각하게 된다. 진정한 이해는 타인이 남과 다름을 알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용서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쉽지 않은 문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관념이 그냥 깊은 성찰에 기반하지 않고, 그냥 받아들인 사회적인 통념에 불과하고, 변화한 시대의 현실을 반영하지 않는다면, 그리고, 심지어는 편견에 근거하고 있다면, 자신과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의 생각을 받아들이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의 스토리중 결손가정에 대한 대화에서 그런 생각을 해보았다. 남편은 대부분의 결손가정의 아이들은 불행하게 자란다는 보편적인 통념을 주장한다. 그러나 아내는 결손이라는 말자체가 부정적인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 실제의 사회내에서 가족제도는 다양한 형태를 띠고, 많은 사람들이 편부모의 가정속의 자녀로 자라도 매우 성공적으로 사회의 일원이 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사랑을 받고 자랐냐 아니냐라는 것이다. 문제는 편부모의 환경을 만들었던 부모들의 문제가 이별후에도 자녀들에게 무관심하다던지 하는 형태로 문제가 되어서 그렇지, 자녀를 사랑으로 잘 키우면 문제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결손가정의 아이들이 더 잘 성장한다는 주장을 펴기까지 한다. 이런 식이 아닐까?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많은 사회, 사람들에 대해서 이런식의 낙인찍기를 한다. 그런 관념이 확인되지 않았고, 편견임에도 우리는 그런 주장을 포기하지 않고, 그런 견고한 관념들이 많은 사람에게 상처를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일부일처제도에 대해서 그런 생각을 해보게 한다. 과연 가족의 본질은 무엇인가?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회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동성간에도 결혼을 합법화한 선진국도 있다. 일부다처, 일처다부제도도 전세계적으로 오랜기간 사회체제로 유지되어왔다. 오히려, 일부일처제도 보편적인 가족제도라고 보기힘들 정도로 그러하다.

이 책의 저자는 이런 문제를 심각하지 않고, 유쾌하게 다룬다. 책을 읽는 중간중간 혼자서 웃음을 참느라 힘들정도로 재밌는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