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귀 맞은 영혼 - 마음의 상처에서 벗어나는 방법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장현숙 옮김 / 궁리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내 책만 그런지 다른책도 그런건지 다른 리뷰에는 언급이 없고......

p167 모든 줄 바꿈 첫글자가 인쇄불량이다.(사진 참조)

 

정독의 버릇에서 찾아낸(^^) 오자는 p205의 네째줄 상대의 ---> 상대의 가 있었다.

 

출판사가 이 글을 본다면 책 교환이 가능할텐데 이미 책은 빨간줄로 가득차 있고, 그냥 넘어가기로하고 대신 수정은 될 걸로 기대한다.

 

스캇펙 박사의 저서처럼 끊없는 밑줄치기가 있었고, 성의있는 번역에 고마움도 느끼면서

끝까지 정독해 읽어 내려갔는데, 옮길 말을 추려서 이곳에 리뷰하기엔 양이 너무도 많았다.

몇가지만 옮겨보면

 

" 다른 사람 때문에 마음이 상하는 경우 말고도 스스로 자기 마음을 다치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은 자신의 가치를 깎아 내린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당사자는 자기를 아주 낮게 평가하고는 자신의 중요성을 자신과 다른 사람 앞에서

끌어내려 버립니다.

예를 들어 이런 유형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달성할 수 없을 만큼 높은 목표를 세워놓고 스스로 부족하다는 느낌에

끊임없이 괴로워하며 사는 사람들 말입니다.

 이들은 또한 세상과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도 너무 높은 기대치를 설정해 놓고 삽니다.

그리고는 같은 방식으로 끊임없이 실망해 다시 한 번 자신을 괴롭히는 것이지요.

이런 경우, 스스로 마음 상하는데서 오는 자신을 욕하는 자책이라는 공격성의 형태로 나타나 자신을 다치게도 하는데, 외부 세계에 대해서도 이들의 태도는 반항적이고 폄하적입니다."

 

종전 엘리트 교육이 가져온 콤플렉스에 대해 우리 사회의 성찰이 가져오는 매우 심오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책은 자존감의 중요성도 말한다.

연설이나 강연시 듣는자의 반응이 하품을 한다고 해서 심리적으로 왜그럴까 하고 그에게 파고들면 오히려 강연이 망쳐지게 되고, 훌륭한 연설은 자신이 흥미를 느낄때 자주성이라는 자존감에서만 마쳐지게 된다는것이다.

 

마음상함을 경험하게되면 자기 정체성의 뿌리가 흔들려 충족되지 않은 욕구가 되살아나게 된다!

 

남자들은 자기를 남과 구별해 나감으로써 자신을 발전시켜 나가고, 경쟁을 통해 자기 정체성을 확립시켜주는데 반해, 여자는 남과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자아를 찾으려고 한다. 여자에게 경쟁이란 남과 다르다는데서 오는 불안, 나아가 자기 정체성을 위협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결국 도달한 저자의 결론은 마음 상함을 극복하는데는 희망과 느긋함(여유?) 이라고 맺고 있지만

이것이 설득력을 갖는데는 접촉을 통한 공감의 과정이나 현실의 행복을 인식하는 여러가지 요소의 과정을

부가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어째든 독일 심리학의 접근이라는 면에서 저자의 다른 도서도 구입하였고

또 읽어내려가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