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의 중국일기 5 - 세기의 대결 도올의 중국일기 5
도올 김용옥 지음 / 통나무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검색하다보니 중국관련하여 일기 라는 제목을 단 책들이 종종 눈에 띈다.

아마도 광대한나라의 체험치고는 마땅한 표현이 없었기 때문 아니었을까

추정해 본다.

 

도올 선생의 책들은 권위주의 시대 권위를 가진 자의 시각이 어떤가를

알고 싶어 하는 독자들에게 적절히 부합되었기 때문 아니었을까

 

어렵다는 평가 속에도 간결하게 쉬운 언어들로 파고드는 일상의 속어들에서

사람들은 권위자의 시각과 그 세계를 맛보고 싶어하기 때문에

신드롬적으로 열광하는것 같다.

 

고구려 기행은 2권과 3권에 충분히 나타나있다.

4권 특히 5권으로 오면 근대화 군벌시대로 들어가며

지루하리만치 파고드는 역사적 배경들이 펼쳐지는데

지겹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5권까지 오면서 피로감? 이런것이 겹쳐지면서가 아닐런지

5권은 대부분 장학량이야기다

일본이 만주국을 건설하는 계기의 시초인 뚱베이 지방

(랴호허강 하류의 흔히 요동반도로 표현되는 지역인데

구글어스로 보면 여기부터 상류를 따라 하얼빈까지 펼쳐지는 방대한 화북평야는 우리나라 부산서 신의주까지 길이의 2배정도를 능가한다)에서

장학량이 벌인 부저항 운동 과 관련된 이야기다.

6권은 장학량에 이어 모택동 얘기로 이어질게 틀림 없을듯하다.

 

일기라고 하기엔 깊이 들어간 느낌도 있다.

아래 사진은 장학량이 보낸 편지에 언급된 이완용 비유건 p240

 윤봉길 의사의 유서 p47

 

4.19 혁명으로 물러난 이승만의 한강 다리 폭파 언급

구글어스로 찾아본 호태왕비의 위치(오른편 아래 노란선이 북한과의 경계이고 만포시의 일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