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림과 울림 - 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우리
김상욱 지음 / 동아시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올학당 수다 승철>이란 프로그램에서 처음 저자를 보았을 때는 정형화된 말쑥한 생김새에

호감은 덜 했지만, 깎듯한 예의와 폭넓은 관점에 기대감이 들고, 그래서 호기심 삼아 책을 구입했다.

 

좋은 책은 꼼꼼히 읽어야 하는건지 읽는 속도가 빠르지 않다.

주요 부분에 밑줄을 그어가며 모르는 용어를 찾아가며 이해를 하니 그런것 같다.

 

유신 시절의 주입식 교육 때 무작정 외웠던 원자번호! '수헤리베염화....' 은

양성자 수를 말하는 것이었고

상대성 이론이 아인슈타인이 말한 이론이라는것은 알지만

정지한 1초는 짧게 느껴지고 시간이 빠르게 느껴지지만

움직임이 있는 시간 1초는 앞의 정지된 1초 보다 길게 느껴지므로

시간이 늦게 가는것처럼 느껴진다 는 개념은 여기서 얻게 되었다.

 

그리고 자연 현상의 99% 설명이 가능하다는 슈뢰딩거 방정식의 암대함

흑체복사이론/ 광전효과/상보성/불확정성의 원리/등가원리/전자기력/환원주의/생기론/ 입자물리/응집물리

통계물리/전일주의/뇌터정리/ 모두 차후 읽어보려 표시한 부분들이다.

'금붕어가 상대성 이론을 상상할 수 없듯이 기계가 인간의 감정을 갖는다는것은 상상조차 하지 못할 모습이다'

그리고 화두처럼 던진 '파동은 운동 방식의 하나가 아니라 물질 그 자체의 본질 아닐까?'

 

<사피엔스> 나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리사랜들의 다른 저서까지

더 읽다보면 다른 분야의 책은 언제 읽나 미리 걱정까지 되는 지식 세계의 방대함!

 

 

쉽게 설명하는 능력은 상대의 관점에서 이해의 정도를 추정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른바 눈높이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 아닐까 !

 

 그런 독자들에게 손을 잡게 해주는 정도의 철학적 접근이 있는 책이라고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