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문학에 취하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그림, 문학에 취하다 - 문학작품으로 본 옛 그림 감상법
고연희 지음 / 아트북스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작품을 바라보고 화폭 속 여유를 나눠보자. 

  <그림, 문학에 취하다>의 저자 고연희씨는 조선시대의 문학과 사상과 연관한 회화 작품 감상을 깊이 있게 다룬 분입니다. 오늘날 표현하자면 고전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책 속의 그림과 그림에 실려있는 다양한 문학작품들은 당시의 삶과 사상이 조화된 가운데 표현되어졌지만 오랜 시간을 흐른 가운데 이해하기 어렵고 난해한 구절들이 많아 쉽사리 접근이 어렵기도 합니다.
  저자는 이러한 이해를 돕고자 그림 속 문학을 화폭 밖으로 끄집어 내어 이야기 하고 다시 당시를 회상하며 그림을 바라보아 오늘날 우리가 이해하기 쉽도록 현대적 언어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그림, 문학에 취하다>는 문사들의 정신적 자유함과 사상의 높고 푸른 기상을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작품들 속에서 한국의 미를 재 발견하는 시간이 펼쳐져 있습니다.

취한다는 그 말

  책 속의 문학 작품들과 그림을 감상하다 보면 취(醉)한다는 느낌이 듭니다. 한폭의 그림 위에 실린 짧은 시 한 수가 어찌 문학의 깊은 맛을 표현할 수 있느냐라고도 말할 수 있겠지만 '시'는 언어의 함축적의미의 결정체가 모여져 이뤄진 최고의 결과물이며 그리고 '시'에 담겨진 깊은 문학작품성을 상징화시키고 이끌어내는 그림은 절묘한 조화를 이뤄 보는 이로 하여금 취를 느끼게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취의 한 예로 이인문의 '송하한담도'(소나무 아래 한가로운 담소)를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림, 문학에 취하다>의 떠오르는 시정편에 실린 '송하한담도'는 조선후기의 화가 이인문이 그리고 김흥도가 글을 적은 시원한 느낌과 여유로움이 느껴집니다. 소나무 한 그루가 동에서 서로 굽이쳐 가로지르고 산에서 흘러내려온 물이 북에서 서로 남으로 가로지르는 가운데 소나무와 물 가사이에 있는 장소에 자ㅣ리 잡은 두 벗의 한가로운 담소의 장면은 작품의 위에 수록되어 있는 '초서'의 필적가운데 실린 왕유의 '종남별업'과 함께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느낌자더 더합니다.
  시상에 드러나있는 의미를 파악하고 다시 그림을 바라보면 그림에서 전해져오는 문학적 향취가 눈을 어지럽히고 머리를 흔들어 독자에게 취를 더하니 취가 무엇인지를 깨닫게 됩니다.

동양의 고전이 오늘의 말로 해석되어지다. 

  <그림, 문학에 취하다>다양한 참고 문헌과 인용문과 추가적인 정보들을 가지고 화폭 속 정취와 문학을 한데 조화시켜 보는 이로 하여금 작품의 미를 감상케 합니다. 고전이 가지고 있는 한계 가운데는 오늘과 거의 시간이 만들어 놓은 깊은 골. 언어와 풍습, 문화와 사상의 장벽이 가로 막혀 있지만 저자의 도움으로 장벽의 가로막힘이 뚫려 있음으로 인하여 오늘 우리는 고전의 참다운 맛을 느끼며 바라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와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림, 문학에 취하다>는 한국의 전통만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습니다. 굳이 어떠한 것을 중심으로 펼쳐지냐고 묻는다면 조상들의 얼과 뜻이 담겨져 있는 문학작품성과 닿아있는 작품들이 수록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전을 오늘의 말로 읽을 수 있도록 해석하는 과정은 매우 어렵습니다. 해석에 따라 의미가 왜곡되거나 변질 될 수도 있으며 깊은 이해를 위한 사유가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저자 고연희는 오늘의 독자들에게 고전을 소개하며 해석되어지는 가운데 나타나는 문제점을 고려한 원문에 충실한 번안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는 저자가 인용한 참고문헌과 인용의 출처 그리고 원문의 충실한 수록이 방증합니다.
  문학이 그림으로 표현되고 그림이 다시 문학으로 탄생하는 현장을 바라보며 그림에 취하고 문학에 취하는 의미있는 경험이 이뤄지는 가운데 동양의 고전인 옛 그림을 감상하는 즐거움을 누려보시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