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대중문화 분야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주세요

어느덧 2011년이 되었다. 신묘년 토끼의 해는 토끼처럼 더욱 부지런히 그리고 총명함으로 무장한 지식인이 되고 싶은 한해이다. 한해를 맞이하면서 신간도서에 대한 리뷰도 그리고 다른 추천도서들도 모두 글을 쓰는데 있어서 부족함을 좀더 메꾸고 새롭게 변화된 컨셉을 추구하고자 한다. 얼마만큼이나 성공할지 그리고 실패할지 아무것도 알 수 없지만 스스로 글을 돌아보고 읽었을때 적어도 조금씩이나마 향상된 글을 접하기를 소망한다. 2011년 신묘년 1월달 첫 단추를 꿰고 싶은 책들을 남길 수 있다는 사실이 무척 감사하다.

예술의 정신_로버트 헨리(지은이): 이종인 (옮긴이): 즐거운 상상 : 2010-12-20 

-거장이 전해주는 미술의 본질-
20세기 전반기 미국 화단을 주도한 애시캔 화파의 지도자인 로버트 헨리가 전해주는 예술에 대한 물음이다. 예술이란 무엇인가? 젊은 예술가에게 보내는 편지, 그림 비평에 관한 편지, 무엇을 위한 예술인가라는 각 장은 예술의 본질과 핵심을 다루고 있다. 우리는 수많은 예술작품을 보고 또한 작품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하지만 정작 많은 예술감상과 토론의 시간가운데 본질을 잃어버리거나 본질을 흐릿한 이미지로 가지고 있는 경우들이 많다. 사물의 본질을 이해할때 사물을 제대로 설명하고 보여줄 수 있듯이 예술의 본질을 이해할때 예술에 대한 논의와 창조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64세라는 짧은 나이에 별세하기까지 수많은 후배 화가들에게 결정적 영향을 미친 저자의 예술의 본질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막연히 생각하는 혹은 잃어버린 예술의 본질을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미술은 똑똑하다[오스본의 만화 미술론]_리차드 오스본 : 댄스터지스(지은이) : 나탈리 터너(그림): 신성림(옮긴이): 서해문집 : 2010-12-20

-초보자를 위한 미술 입문서 -
만일 미술 이론이 너무나도 어렵고 난해하다면 미술에 대한 접근은 꿈도 꾸지 말아야 하는 것일까? 미술에 관한 입문 서적은 하나같이 미술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제시한다. 그 이론이 너무나도 난해하고 다양하기에 독자들은 미술=예술 모두 어렵다라는 편견을 가지고 저멀리 저편에서 방관자가 되어버리기도 한다. 미술에 대한 관심은 있지만 쉽게 접근하고 싶다는 이들에게 전체적인 미술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의 역사적 순서에 의한 소개와 미술 제작의 본질을 다루는 가장 중요한 이론들이 소개되어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미술은 똑똑하다를 추천하고 싶다. 구석기 시대부터 테이트 모던 미술관까지 미술의 개념을 살펴볼때 미술은 더이상 난해한 이론으로 무장한것이 아님을 해학적 그림과 철학적 사유의 만나는 공간 가운데서 즐겁고 쉽게 읽기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소외된 90%를 위한 디자인_스미소니언연구소(지은이) : 허영란(옮긴이) : 홍성욱(감수) : 에딧더월드 : 2010-12-17

-디자인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스미소니언연구소의 내셔널디자인뮤지엄이 2007년 개최한 동명의 전시회를 모태로 해서 만들어진 책이다. 이 작품은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를 근간으로 쓰여졌다. 적정기술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인도의 간디가 몸소 실천했던 물레의 장면을 생각해보자. 경제적 불균형에 따른 균형을 꿈꾸고 소수가 아닌 다수의 인간을 중심으로한 발전을 꿈꾸던 화제의 간디(최근 그를 소재로한 수많은 패러디물은 그의 사상을 완전히 뒤집는 것이기에 그저 슬플 따름이다.)의 사상을 확대 발전시키는 가운데 등장하였다. 대중적으로 소외된 계층을 위한 디자인을 통해 우리는 디자인이 소수를 위한 소유물에서 벗어나 다수의 경제적 빈곤과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책을 통해서 배울 수 있다. 경제적 불균형과 저개발국 국민들의 실생활을 도울 수 있는 디자인과 적정기술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한번쯤 꼭 읽어보자. 우리의 작은 노력과 인식의 전환은 곧 인류사회에 있어 상생과 공존이라는 영역에 발을 내딛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스페셜 아트_박무근. 심상욱, 심해미(지은이) : 가나북스 : 2010-12-06

-그것은 아주 특별한 예술의 영역이다-
흔히 장애는 사회적 약자, 인간의 행동을 제약하는 용어로 사용되어왔다. 선천적인 그리고 후천적인 장애를 가진 이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가지 한계와 차별을 경험한다. 이러한 차별과 편견은 장애를 가진 이들의 무한한 능력마저도 제한한다. 스페셜 아트는 장애 미술영재보다 더 넓은 범위를 포함한 미술 영역을 다루고 있다. 편견을 버리고 미술을 바라본다면 장애와 비장애 사이의 거리감이 모호해짐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스페셜 아트는 아주 특별한 예술의 영역을 다루면서 동시에 예술과 창조의 영역에서의 편견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그리고 특수 교육과 창조성의 발달등을 배울 수 있는 소중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사회의 편견에 사로 잡혀 예술을 바라보는 이들에게 스페셜 아트는 아주 특별한 예술 영역으로의 관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