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은 자가 무슨 말을 ㅣ 필립 K. 딕의 SF걸작선 2
필립 K. 딕 지음, 유영일 옮김 / 집사재 / 2002년 6월
평점 :
품절
필립K. 딕... SF소설가..
이 작가의 이름이 생소할 것이다. 나 또한 그러했으닌깐..
하지만 영화 토탈리콜 하면 모르는 이가 없지 않을까?
영화 토탈리콜의 원작소설을 지은 작가이다.
현실에 바탕을 둔 사람들속에 숨겨진 따뜻한 이야기 또는 밝혀내야하는 비정하고
구린내나는 비판적이야기에 더 솔깃하는 나로써는 SF가 별 흥미를 끄는 소재는 아니다.
하지만 이 소설은 꽤 재미있었다.. 영화적 상상을 자극하게 했으며
기발한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이 소설을 모델로 아이템을 짠 색다른 한국의 단편영화도 생각이 나더라..
아~ 이 소설을 읽고 유츄해 상상을 더 발전시켰군.. 하면서..
간략한 소개
1. 아무도 못말리는 M -기계 로봇이(TV로 변신할 수 있는 로봇이 살인을 저지른 이야기)
2.도매가로 기억을 팝니다 - 자신이 갖을 수 없는 경험을 돈을 주고 가짜 기억을 구입해
간접경험을 하는 회사. 하지만 주인공은 자신이 원하는 바로 그
경험이 실제 자신에게 있었던 기억이었고 그것을 지웠던 것이다.
반전이 돋보이며 화성경험과 외계인에 대한 기억이
만화적 상상력을 자극함(이 작품이 토탈리콜의 원작인 듯 함)
3.두번째 변종- 가장 재미있게 읽은 이야기. 언제가 짧은 영화로 본 기억이 난다.
전쟁을 하는 인간들이 만들어 낸 원시적인 기계가 점점 변종을 해
어린아이부터 남자,여자로 점점 자가 업데이터를 이루워 변종을
발생 시키고 인간을 죽이고 다른 변종로봇마저 모두 죽이고
자신의 변종이 모든 것을 지배하려한 로봇이야기.
반전과 끝까지 알 수 없는 궁금증을 계속 끌고가는 기술이 뛰어나다.
4.죽은 자가 무슨 말을 - 느끼는 바가 큰 미래 소설
지금의 언론과 광고, 홍보에 대한 병폐를 지적한 훌륭한 미래소설.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이 자신의 몸을 위탹해 중요한 일이나 행사때
잠깐씩 부활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 사회..
죽은 것같지만 계속 자신들을 지켜보는 듯한 회장.
실체(시신)은 확인되지 않지만 회장의 밑에 일했던 이들을
계속 조종당하는 듯한 느낌을 갖는다.
결론은 회장을 이용해 그 손녀가 모두 꾸민일..
죽은 회장이 정신적으로 전지전능하게 모든 것을 주관하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모든 사람을 속이고 자신의 뜻대로
선거의 결과마저 자신의 뜻대로 득표하게 하는 힘을 발휘한다.
계속 스피커로 쏫아져 나오는 반복되는 회장의 목소리-언론,광고
는 정말로 그 목소리대로 사람들이 움직이게 하는 힘이 생기게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인간은 그리 단순하지 않다.
반복되는 홍보와 쇠뇌에 반감이라는 감정이 고개를 들고
이 것은 또다른 희망이 된다. 사고의 자유.... 자신의 사고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희망.. 언론과 광고속에 사고를 빼앗기지 않고 사고할 수 있는 또 다른
인간의 사고의 돌파구...
5 매혹적인 시장- 과거의 할머니는 동네에 파는 일상적인 생활 필수품을
미래에 전쟁으로 황폐화 된 우주선 추락현장의 살아남은 생존자들에게
팔아 넘기며 재미를 보며 산다. 오직 그 곳에 시간의 통로를 들어 갈 수
있는 건 자신 하나....
이 매혹적인 시장으로 재미를 보는 할머니는 우주선을 모두 고친 미래의
인간들이 새로운 행성으로 옮겨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는 것을 알고
화가 난다. 자신의 짭짭한 돈벌이 시장이 없어지므로
결국 자신의 전능한 능력(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미래의 지구후손이 전쟁을 겪은 후 다시 살아날 수 있는
희망을 뺴앗는다. 왜? 그들이 떠나면 자신의 짭짭한 돈벌이가 없어지므로...
아~ 이 믿을 수 없는 무서운 이기심.. 이 것이 인간이 것이다.
6.오르페우스의 실수- 과거의 유명한 사람들이 행적을 성공시키도록 염감을 불어 넣을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기회를 파는 회사...
즉, 과거로 가 자신이 선택한 유명인에게 그 역사속 유명인이
역사에 남은 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영감을 넣는 일을 하도록 돕는 미래의 회사이다.
하지만 실수를 한 주인공... 작가자신( 필립K. 딕)의 작품 영감를
실패한 주인공은 히틀러가 쓴 유명한 자서전(나의 투쟁)를 쓰지 못하도록
하는 기회를 얻는다.
(사실 고등학교떄 나의 투쟁이라는 책을 읽었다... 물론 히틀러의 나치즘이
옳지는 않지만 이 책만큼은 필히 읽어 볼 만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리 표현을 해 놓아서 좀 씁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