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ito(생각하다)의 어원이 ‘흩어져 있는 것들을 한데 모으다‘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의 어떤 페이지에서 읽었습니다. ‘모으다‘라는 뜻의 cogo 에 어떤 행동의빈번함을 나타내는 접미사 - ito가 붙어 cogito라는 단어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cogito의 원래 뜻은 ‘자주 모으다‘인데, 사람들이 어떤 것을 한데 모으는 마음의 행위에만 이단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생각하다‘라는 의미로 고정되었다는겁니다. 그의 설명에 의하면, 인간의 내부에는 그가 ‘감추어진동굴‘이라고 부르는 어떤 장소가 있는데, 거기에 많은 것이 파편으로 흩어진 채 숨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들은 어떤 자극을 받지 않으면 동굴 밖으로 이끌려나오지 않는다는 겁니다. - P5
「주간 문학동네에 산문 연재를 시작하면서 "문장을 통해서만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는 진실이 있다는 믿음"에 대해 말했는데, 그때 나는 저 『고백록』의 저자를 떠올리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문장으로 생각하고, 생각한 것을 문장으로 표현합니다. 내가 하는 생각은 내 안에서 나온 것이고, 그러니까 내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없지만, 그러나 그 생각은 어떤 문장의 작용 없이는 태어날 수 없는 것이니 온전히 내 것이라고 할 수도없습니다. 이끌려나와 모습을 보이기까지 그 생각이 내 안에있었는지조차 모를 테니까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작가 마르셀 프루스트가 작품이란 "그 책이 없다면 스스로 보지 못했을 것을 볼 수 있도록작가가 독자에게 제공하는 일종의 광학기구"라고 했던 것을기억합니다. 이 유명한 문장을 인용하면서 밀란 쿤데라는 친절하게도 "독자는 독서하는 순간 자기 자신에 대한 고유한 독자가 된다" (커튼)라고 덧붙였습니다. 책을 읽을 때 독자가실제로 읽는 것은 책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라는 뜻입니다. 책6 - P6
(속 문장)은 ‘나‘를 잘 읽도록 돕는 광학기구일 뿐이고, 그 광학기구가 있어서 나는 ‘나‘를 읽을 수 있게 됩니다. 이 위대한 작가들의 말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을까요? ‘나‘ 를 발견하게 해주기 때문에 책은 중요합니다. ‘나‘를 읽게 하지 않는다면 책을 읽을 이유가 어디 있단 말입니까? 아니, 이렇게 말해도 되지 않을까요? ‘나‘를 읽게 하지 않는 책을 도대체 왜 읽는단 말입니까? 책을 통해 ‘나‘를 읽을 때, 나는 ‘나‘를통해 타인과 세상을 같이 읽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타인과세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나‘를 통해 읽는 사람과세상만이 진실합니다. ‘나‘를 배제한 어떤 사람과 세상에 대한이해도 진짜가 아닙니다. 자기에 대한 의심과 돌아봄이 없는이해만큼 위험한 것도 없습니다. 그래서 읽기가 중요합니다. 우리는 나를, 사람을, 세상을 정말 잘 읽어야 합니다. - P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