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든 길이 지도를 만든다 - 제3의 詩 6
강연호 지음 / 문학세계사 / 1995년 6월
평점 :
절판


 

저 별빛

                              강연호

 

 

그리움도 버릇이다 치통처럼 깨어나는 밤

욱신거리는 한밤중에 너에게 쓰는 편지는

필경 지친다 더 이상 감추어둔 패가 없어

자리 털고 일어선 노름꾼처럼

막막히 오줌을 누면 내 삶도 이렇게 방뇨되어

어디론가 흘러갈 만큼만 흐를 것이다

흐르다 말라붙을 것이다 덕지덕지 얼룩진

세월이라기에 옷섶 채 여미기도 전에

너에게 쓰는 편지는 필경 구겨버릴 테지만

지금은 삼류 주간지에서도 쓰지 않는 말

넘지 못할 선,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어 너에게

가고 싶다 빨래집게로 꾹꾹 눌러놓은

어둠의 둘레 어디쯤 너는 기다리고 있을 테지만

마음은 늘 송사리 떼처럼 몰려다니다가

문득 일행을 놓치고 하염없이 두리번거리는 것

 

저 별빛 새벽까지 욱신거릴 것이다

 

 

 

 

가슴이 저릿한 '저 별빛'이다.

치통처럼,

노름꾼처럼,

넘지 못할 선, 넘지 말아야 할 선,

언제나 경계들은 현실을 막고 선다.

먹먹한 삶의 반성과 두터운 회한의 그리움이

쓰지 못하는 너에게 보내는 편지처럼

새벽까지 욱신거릴 것이다.

 

 

 

먼 길

 

 

먼 길이 그를 규정한다

미친 세월이라고 고개를 주억거리는

억새 무늬에 밀려 여기까지 왔어도

여전히 먼 길, 혼자서는 갈 수 없어서

누군가 잡아 주길 기다려 남겨둔 그의 빈손은

아직도 텅 비어 허공만 움켜쥐고

혼자서는 갈 수 없어서

동행 찾아 헤맨 발걸음이 그를 이끌어

올 데까지 왔어도 여전히 먼 길

혼자서는 갈 수 없어서 결국 혼자 가는

먼 길이 그를 규정한다

먼 길은 그의 유일한 존재 증명이다

 

 

 

 

'먼 길'은 서럽다.

그의 유일한 존재 증명이어서 라기보다는

그것만이 유일한 존재 증명이 될 수밖에 없는

길.

멀고 먼 길.

부득이

'먼 길'을 떠나야 하는 이 생애의 고단함이 …….

 

 

 

월식月蝕

 

 

오랜 세월 헤매 다녔지요

세상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 그대 찾아

부르튼 생애가 그믐인 듯 저물었지요

누가 그대 가려 놓았는지 야속해서

허구한 날 투정만 늘었답니다

상처는 늘 혼자 처매어야 했기에

끊임없이 따라다니는 흐느낌

내가 우는 울음인 줄 알았구요

 

어찌 짐작이나 했겠어요

그대 가린 건 바로 내 그림자였다니요

그대 언제나 내 뒤에서 울고 있었다니요

 

시집 [잘못 든 길이 지도를 만든다(문학세계사1995)]

 

 

 

 

날이 흐리다.

 

'별빛'도 '달'도 가려진 저녁.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는데,

길은 잘못 들고

지도는 없구나.

내 그림자에 가려진 길

'먼 길'

칠흑의 어둠에도 찾아 나서야겠지.

 

 

 

 

自序

 

  날이 갈수록 삶은 누추하다. 세상에 비 오고 눈 내릴 때마다 나는 깨끗이 닦인 칠판처럼 내 발자국도 지워지길 원했다. 처음부터 다시 걷고 싶은데 별은 새벽까지 욱신거리고 갈 길은 여전히 멀다.

모두 세 묶음으로 나누었고 별다른 의미는 없다. 마지막 묶음은 첫 시집에 빚진다.

1995년 6월

강연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