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초록 - 어쩌면 나의 40대에 대한 이야기
노석미 지음 / 난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꽃을 이것저것 심었더니 나비가 많다. 나비. 벌레인데 무척 아름답다. 시끄럽지도 않다. 봄날, 장자의 나비 이야기에 빚지지 않아도 세상에서 제일 좋은 게 뭐냐고 묻는다면 '나비'라고 답하겠다. 내가 나비는 정말 예쁜 것 같아,라고 밭일을 하러 오신 엄마에게 이야기를 했더니, 엄마는 넌 벌레는 싫어하면서 나비는 좋아하는구나 하셨다. 나비도 벌레인 건 알지? 음······ 그렇구나. 나비도 벌레긴 하지. 근데 나비는 왜 예쁠까? 생각해보니 나비가 가진 그 화려하거나 소박하거나 알록달록하거나 따스한 색이나 그 외양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나비의 그 움직임, 팔랑팔랑······이라고 쓰지만 실제론 소리가 나지 않는다. 소리가 진짜 안 나는 걸까. 가까이에서 들어보지만 인간의 청력으론 들을 수 없다. 신비롭다. 나비를 가까이에서 보면 사실 징그럽게 생기기도 했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자세히 보면 다 낯설고 이상하게 생겼다. 누군가의 말처럼 아름다운 것은 이상한 것인가. 이상하게 생긴 나비는 아름답다. 꽃 역시 마찬가지, 아름다운 빛깔과 향기를 지녔지만 자세히 보면 이상하게 생겼다. 이상하고 낯선 구조를 가진 꽃들도 많다. 꽃과 나비가 만나는 일은 세상의 어떤 완벽한 한 장면이 아닐 수 없다. 아니, 어쩌면 완벽을 넘어서는 장면 같다. 아름다운 날갯짓을 하는 나비의 수명은 보통 2주 정도라고 한다.

   어둠이 내려앉으면 불 밝힌 창문으로 찾아오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나방들을 만난다. 나비와 다르게 취급받고 있는 나방은 내게는 좀 측은하게 여겨지는 존재들이다. 마치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같다고나 할까. 나는 굳이 나방을 죽이지 않는다. 어쩌다 실내에 들어오게 된 녀석들은 생포해서 내보낸다. 다음날 아침이면 창가에서 여러 마리가 간밤인지 새벽에 돌아가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생을 다한 것일 거라고, 그들의 짧은 생에 대해 잠깐 묵도를 보낸다. 132, 133쪽

   언제나 살리에리를 생각한다. 평범한 재능을 가진 그가 비범한 재능의 모차르트를 맞서는 방식과 열등감을. '나비와 나방의' 관계도 그럴 수 있구나 싶어 고개를 끄덕끄덕. 이런 시선에 찬탄한다. 그래도 여전히 벌레는 싫다. 특히 모기는 나에게 천적이다. 벌써 모기에 물리며 살고 있다. 모기, 생각만으로도 여기저기 가렵다.

   햇살이 바람을 담고 초록색이 갈색과 혼색이 되기 시작할 무렵 보았다. 사마귀가 사마귀를 먹고 있는 것을. 먹는 사마귀는 나뭇잎색 연두색, 먹히고 있는 사마귀는 낙엽색 갈색이다. 마치 그 둘은 여름과 가을의 색과도 같다. 양손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안고 있는 듯한 포즈로 머리부터 차근히 먹어 나간다. 이미 머리가 없는 먹히는 놈의 발이 까닥하고 움찔한다. 먹고 있는 사마귀가 고개를 돌려 나를 바라본다. 그와 눈이 마주친 순간, 이 모습을 지켜보고 있는 나 자신을 원경에서 발견한다. 원경에 놓인 나는 두 마리 사마귀의 삶과 죽음과 본능의 한 순간을 염탐하고 있다.

  나는 종종 인류의 과제, 생활하는 자인지 말하는 자인지, 혹은 정말 실존하는 자인지 멍하게 생각해보곤 한다. 삶을 즐긴다, 라고들 표현하곤 하는데 정말 즐긴다는 것은 무엇일까? 어느 시인, 시구가 너무 다 착해서 모두가 사랑하는 그의 한 시구가 귀에서 가슴으로 흐르듯이······ 바람을 타고 들려온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여름이 끝났다. 165,166쪽

   화가이기에 이런 색깔들을 문장으로 풀어 놓는 게 가능했을 것이다. 책, 전반에 걸쳐 이런 표현들은 너무 탁월해서 감탄했다. '햇살이 바람을 담고 초록색이 갈색과 혼색이 되기 시작할 무렵', '나뭇잎색 연두색', '낙엽색 갈색'

그의 그림처럼, 집처럼, 문장도 관찰자의 시선이 간명하게 소박하지만 깊이가 있다. 저 광경을 본 적이 있다. 오래 지켜보지 못하겠던데, 징그럽다거나 그런 관점이 아니라 피하고 싶은, 눈을 감아 버리고 싶은 정경이었다. 관찰자의 시선이 탁월하다.

   "네. 고양이나 개나 비슷해요. 반려동물로 사는 개, 고양이들은 보통 15~20세까지 살아요."

   아직도 사람과 친근한 개, 고양이의 평균 수명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관심이 없어서일 테고 다 알 필요도 없다. 그들에게 개나 고양이나 소나 돼지나 닭이나 밖에 놓인 나무 한 그루나 뭐가 다를까 싶다.

애묘인, 애견인이란 표현을 쓰면서 특별한 사람 취급을 받는 것은 꽤나 불편하다. 무언가를 사랑할지 말지는 각자 알아서 하는 일이다. 사랑의 방식 역시 마찬가지다. 그들이 관심 없다는 것, 그것은 괜찮다. 그저 사람이 뭐에든 우선이라는 식의 생각이 난 별로다. 그들(동물이건 식물이건)은 사람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170. 171쪽

   뜨끔하다. 이 구절은 내게 해당된다. 그러나 '무언가를 사랑할지 말지는 각자 알아서 하는 일이다. 사랑의 방식 역시 마찬가지다.' 는 100% 동의한다.

   사람마다 힘들어서 쓰러지는 포인트가 다 다르다고. 그래서 교집합이 있기야 하겠지만, 나의 포인트와 상대의 포인트가 동일하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것이라 그 다름을 깨달을 때 관계의 틈이 생긴다고. 사연을 알게 될 만큼 서로가 친해지면 아마도 이해하기가 쉬워지고 그 교집합의 범위가 넓어지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상대의 포인트를 어찌 간파할 수 있을까. 각자의 다른 사연을 친밀하게 느끼는 것이 친하다는 말일지도 모른다.

   어느 날 아침, 나는 문득 친밀하게 느끼지 못해 저질렀던 일들에 대해, 그래서 섭섭함을 느꼈을 친구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가득하다. 그리고 외로운 기분이 든다. 위로가 필요한 우리들에겐 늘 외로운 마음이 항상 더 가깝다. 좀 쓸쓸하지만 위로라는 건 어떤 찰나, 한 줄의 문장, 혹은 많지 않은 몇 컷의 이미지일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그 이상은 위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자신의 철벅철벅한 삶으로 다시 돌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타인이 주는 위로라는 건 그와 내가 주고받은 대화 속에서 서로의 상태가 일치할 때 또는 허황되게도 일치가 일어났다고 상상에 빠졌을 때만 가능할 뿐이다. 어쩌면 위로라는 감정 혹은 행위는 일상에 속해 있는 것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잊고 있다가 아주 가끔 창문을 열면 만나는 저쪽 세계에 속하는 시원한 바람 같은 위로와 함께 일상은 냉정하거나 권태롭게 천천히 척척척 레일 위를 그저 달려간다. 그 창문은 조금 있다가 다시 닫아야 한다. 185, 186쪽

   위로랍시고 던지는 말들이 폭력이 되는 과정을 얼마나 많이 목도했던가. 내가 쉽게 건넨 말들에 위로가 아니라 상처를 받고 섭섭했을 이들 또한 얼마나 많았을까, 생각해보면 아득해진다. 점점 말 앞에서 조심스럽다. ​

   나는 늘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하고 지낸다고 스스로를 탓하기까지 한다. 하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못했던 모양이다. 이별이 익숙해지지 않는다. 아버지의 죽음 앞에서도 당황했고 무서웠다. '나'라고 규정된 것들에 포함된 것들, 나의 가족, 친구, 가까운 사람들, 그리고 반려동물들, 그 외의 여러 가지 것들을 통해서 나란 인간을 확인하곤 한다. 그러다가 어느 날, 가까이의 존재들이 사라진다. 이별하게 된다. 나라고 규정된 것에 구멍이 생긴다. 그 상실에 대한 두려움, 그 두려움이 기도를 만들어 냈을 것이다. 어쩌면 산다는 것은 그 두려움과의 사투, 일지도 모른다. 그 상실감, 그 여백에 내가 원치도 않았고 내겐 생경한 것, 그리움이 채워진다. 194쪽

   이별에 익숙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있다면 그런 척 위장하거나 스스로를 숨기고 있을 뿐이지 실제로 익숙한 사람은 없을 거라고, 우리의 삶이 죽음을 향해가는 행로이지만 죽을 생각을 안 하고 사는 것과 마찬가지로 죽음을 통한 이별을 포함한 모든 이별 앞에서 그럴 거라고 생각해왔다. 그런 두려움이 관계 맺기에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산다는 것은 그 두려움과의 사투, 일지도 모른다. 그 상실감, 그 여백에 내가 원치도 않았고 내겐 생경한 것, 그리움이 채워진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