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사이에 삶의 길이 있고 

 

(인생을 알게 하는 우리 수필 21선) (사계절1318문고 3번째)

전우익 도종환 강은교 석지현 백기완 장준하 권정생 김정한 노무현 
최성수 김형석 윤명혜 장기표 정진홍 최정현 이상석 김영현 신영복 최현배 김명수 루쉰
강혜원 엮음



나의 인생, 나의 분노(노무현)


우리 또래의 사람들 대부분이 그렇듯, 나의 어린 시절도 무척이나 가난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생생하게 기억나는 것은 상고3학년 시절의 초겨울, 잠잘 곳이 없어 학교 교실에서 이틀 밤을 잤던 일이다. 밤새 이를 악물고 얼마나 떨었던지 아듬 날, 이가 아파서 온종일 밥을 한 숟가락도 먹을 수 없었다. 그런 고생과 설움 속에서 나는 이 담에 커서 출세를 하면, 그 지긋지긋한 고생을 벗어나 설움도 갚고, 나처럼 고생하며 사는 사람을 도와 주리라 다짐하곤 했다. 

(중략)

막상 판사가 되고 보니 세상이 다르게 보였다. 돈 걱정 따위는 안 해도 되고, 알아 주는 사람 많고, 굽신거리는 사람도 많아 편한대로 생각하면 정말 살판나는 세상이었다. 1981년, 소위 부림 사건이란 시국 사건의 재판을 밭고서부터 나의 이기적인 삶의 껍질은 깨지기 시작했다. 부산에서 민주화 운동을 하던 청년 20여명이 「역사란 무엇인가」, 「전환 시대의 논리」등 사회 과학 책을 읽었다 하여 최고 57일간 대공분실에 불법으로 갇혀서 고문에 의해 좌경용공으로 조작된 사건이었다. 

(중략)

모진 고통 속에서도 눈빛만은 형형하게 빛나던 청년들, 어느 한 사람 예외 없이 학교 성적이 우수하고, 부모님에게는 효성이 지극했던 성실한 청년들, 도대체 그들이 무슨 죄를 지었는가? 오로지 죄가 있다면, 순수하게 불타던 이상이 죄였고, 순수한 이상을 가진만큼 남달리 이웃을 사랑하고, 조국의 장래를 누구보다 걱정하며 뜨겁게 사랑했고, 불의에 대해 용감히 항거한 것이 죄였다. 

그 때부터 나는 학생, 노동자 등의 무료 변론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한편, 가난하고 억울한 사람들의 일을 내 일처럼 도맡아하게 되었다. 권력을 쥔 사람들과 재벌이 한통속이 되어 법을 맘대로 주무르는 것을 보면, 나 혼자 이 때위 무료 변호 몇 건 해봤자 계란으로 바위치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 깊은 절망에 빠진 적도 여러 번 있었다. 하지만 그 때마다 양심을 지키기 위해 고민하는 순수한 사람들의 모습이 나의 망설임을 확고한 신념으로 바꾸어 주었다. 

(중략)

그 이후 나는 암울한 군사 독재 정권하에서 인권 변호사를 지냈고, 국회 의원으로 당선이 되어 이른바 청문회 스타가 되기도 했다. 내가 국회 의원이 되었던 것은 잘못되어 가는 정치에 대한 위기 의식도 있었고, 나를 죄인으로 기소한 검찰에 맞서 국민의 심판을 받고자 함이었으며, 민주주의를 위해 기꺼이 한 몸 던지고자 함이었다. 


사계절지기 曰.

2010년 5월 23일은 노무현 전 대통령께서 서거하신지 1주년 되는 날입니다. 추모 콘서트등 다양한 행사가 열리기도 했는데요. 벌써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나갔네요 ; 시간은 이렇게 빠르게 지나가더라도 그 분의 살아 생전 정치적 신념과 소탈하셨던 모습은 오랫동안 우리 가슴에 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