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삶의 음악
안드레이 마킨 지음, 이창실 옮김 / 1984Books / 202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고난과 역경을 헤치고 나가는 게 삶이라고 한다. 하지만 생사의 갈림길에서 고난과 역경은 아무 의미가 없다. 오로지 살아 있다는 게 중요할 뿐. 살아남기 위해 죄책감이나 죄의식 따위는 생각할 겨를이 없다. 내 앞에 펼쳐진 죽음이 당도하기 전에 달아나 피해야 한다. 그래야만 한다.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의 삶을 훔쳐서라도 말이다. 그 삶을 감히 평가할 수 없다. 내가 알 수 없는 시대의 비극, 부조리를 직접 살아내는 일, 설사 같은 시대를 산다 해도 우리는 함부로 타인의 삶을 평할 자격이 없다. 얼마나 절박한지, 얼마나 어두운지 그 어둠에 들어가 봐야 알 수 있으니까.
러시아 출신 작가 안드레이 마킨의 『어느 삶의 음악』 속 ‘알렉세이 베르그’가 살아낸 삶이 그러했다. 스물한 살의 촉망받는 피아니스트였던 그가 살아온 시대, 암흑으로 가득한 소련 스탈린 치하의 정권, 밀고와 은밀하게 벌어지는 숙청이 자행돼된 공산주의. 1941년 5월 24일 그에게는 가장 최고의 날로 기억될, 자신이 연주회가 예정되었던 날 그는 도망쳐야 했다. 그 이후 그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 자신을 버리고 자신과 닮은 죽은 병사의 이름으로 살아온 삶. 어느 순간부터 ‘알렉세이 베르그’인지 ‘세르게이’ 인지 가늠할 수 없게 된 그의 삶.
소설은 처음부터 그의 삶을 들려주지 않는다. 극동지방을 여행하고 돌아오다 우랄 지방 어딘가에서 눈보라로 연착된 기차를 기다리며 춥고 어두컴컴한 대합실을 둘러보는 ‘나’의 시선으로 시작한다. 아무런 대책 없이 느긋해 보이는 승객들의 모습에서 빠져나오려는 ‘나’는 어떤 소리에 이끌린다. 혼잡한 대합실과는 어울리지 않는 피아노 소리. 피아노 앞에 앉은 노인과 마침내 도착한 모스크바행 기차에 오른다. 예상하지 않았던 노인과의 대화, 그리고 그가 살아온 지난 삶을 듣게 된다.
삶을 피폐하게 만드는 전쟁. 그러나 전쟁이 일어나는 순간에도 삶은 다채롭다. 긴박한 상황에서 재미를 찾고 유머가 넘치며 서로가 서로를 격려한다. 그래야만 살아갈 수 있으니까. ‘알렉세이 베르그’가 아닌 ‘세르게이’로 살게 된 그도 그랬다. 피아니스트의 삶이 아닌 병사의 삶으로 살아야 했다. 장군의 운전기사로 위험한 순간에 그를 구하고 신임을 얻는다. 그러나 음악을 향한 갈망은 버릴 수 없었다. 장군의 딸이 치는 피아노, 음악을 모르는 무지한 운전기사에게 피아노를 가르치고 싶은 딸의 짓궂은 욕망. 그것은 그를 향한 호기심이자 사랑에 속한 감정의 표현이었다.
소설에서 음악은 정치나 이념을 뛰어넘은 하나의 고귀함이다. 그것은 잃어버려서는 안 되는 삶의 존엄이자 어떤 상황에서도 존중받아 마땅한 인격과도 같다. 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그 시대를 살지 못한 ‘나’는 노인을 만나지 못했더라면 대합실에서 마주한 사람들과 똑같이 게으르고 수동적인 사람이라 여겼을 것이다. 그가 어떤 삶을 견디고 살아왔는지 알려고 하지 않았던 것처럼.
안드레이 마킨은 매끄럽고 유려한 문장으로 음악을 들려준다. 아니, 삶을 들려준다. 누구나 고유한 자신만의 음악이 있다는 걸 알려준다. 응시하는 곳곳마다 절망과 폐허로 가득한 시대를 살지라도 놓쳐서는 안 되는 그것. 『어느 삶의 음악』은 어느새 ‘나의 삶의 음악’이 된다. 나를 채우는 것들, 내가 희망하는 삶이 된다.
그는 연주를 한다는 느낌이 아니었다. 밤을 가로질러 전진했다. 얼음과 나뭇잎과 바람의 무수한 단면들로 이루어진, 이 밤의 투명하고 불안정한 공기를 들이마셨다. 그의 안에 불행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앞으로 닥칠 일에 대한 공포도 느껴지지 않았다. 불안도 후회도 없었다. 그가 헤치고 나아가는 이 밤은 불행과 공포와 만회할 수 없이 산산조각 나버린 과거를 이야기하고 있었지만, 이 모두가 이미 음악이 되어 오로지 그 아름다움으로 존재했다. (119쪽)
읽는 내내 피아노 연주를 듣는 기분이다. 고요하고 차분하게 흐르는 아름다운 선율과 격렬한 몸짓의 연주자를 상상하기에 이른다. 연주에 집중하고자 흐트러짐 없는 모습, 음악을 향한 순수한 열정. 우리 각자의 삶이 연주할 음악도 이와 다르지 않음을 느낀다. 끊어질 듯 끊어지지 않고 흐르는 소망을 간직한 아름다움이라는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