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 강의 - 신
혜담스님 지음 / 불교시대사 / 1997년 7월
평점 :
절판


반야공관에 대한 대중적 개설서. 경제의에서 입의분 파사분 그리고 공능분, 총결분까지 쉽게 해설함. 반야심경이 부파불교의 번쇄한 아비달마 철학을 어떻게 간명화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음. 학술적인 연구라기 보다 저널에 가까움. 군데 군데 반야공관과 현실정치와의 뜬금없는(?) 비유가 실소를 자아내기도 함. 반야경의 중국 전래와 그 사회정치적 상황들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면 더 충실한 뻔 함. 하긴 그런 수위까지 기대할 만한 저서는 아닌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공 1970, 그녀들의 反역사 - 개정판 이매진 컨텍스트 8
김원 지음 / 이매진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공들의 미시사, 계보학과 담론 분석을 통한 징후적 독해. 주체성의 새로운 구성 혹은 주체성의 해체를 위한 기획? 기존 학제적 방법론에 상당한 반성을 강제하는 방식인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운동사 정통 담론의 하부 지층을 탐사하는 것, 균열을 드러내는 것, 그리고 여공들의 존재를 '제도'가 아닌 '욕망'의 차원에서 정당화하는 것. 이 모든 시도들은 도발적이다. 그러나 한 가지 필연적인 위험이 잠재해 있다. 여공-주체의 '기능화' 말이다. 계보학에서 말하는 힘(puissance)의 차원은 각각의 힘들이 그 기능에서 정의된다. 이 컨텍스트 내에서라면 여공도 그러하다. 따라서 애초의 기획과는 달리 이 욕망들은 자본의 '포섭'이라는 타나토스의 작동에 너무 쉽게 노출된다. 이 지점에서 애초의 정당화는 매우 허약하다. 만약 여공들의 욕망이 집합적으로 '해방'되는 데 실패한다면 이 계보학은 제 임무를 다 완수하지 못한다.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자 남은 과제가 제출될 수 있다. 즉, 여공'들'은 누구인가? 다시 말해, 여공들 각각의 욕망이 해방 또는 전쟁기계가 되는 그 '효과'는 어디서 발생하고 어떻게 선을 그리는가? 이 힘들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이를 위해서는 '일상사'의 공간, 이를테면 공장과 기숙사, 수다, 소그룹 활동등이 운동사 담론의 균열일 뿐만 아니라 체제(-담론) 자체의 균열로 작동한다는 것을 분명히 드러내야 한다. 이때 운동사 담론은 부차화(효과)되고 체제(-담론)은 결정적으로 붕괴할 것이다. 조소의 대상이 될 것이다.

하여간 대작에 박수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변신 이야기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
오비디우스 지음, 이윤기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들의 향연 또는 난장판? 황제를 조롱한 오비디우스. 그리스-로마 신화의 외전. 변신과 은유의 관계는? 카프카는 어느 페이지에 있을까? 혹시 오비디우스가 카프카의 성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라스무스 한길로로로 21
안톤 J.가일 / 한길사 / 1998년 2월
평점 :
품절


전기 서술의 정형을 크게 벗어 나지 않은 무난한 책. 루터와의 복잡한 관계를 통해 에라스무스의 철학적, 종교적 입장을 파악할 수 있게 함. 인문주의자로서의 에라스무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머스 쿤 - 과학혁명의 사상가
웨슬리 샤록.루퍼트 리드 지음, 김해진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5년 10월
평점 :
절판


쿤의 신화를 걷어 내는 한 작업. 주요 개념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 논쟁 지점에 대한 분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