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광인 - 상 - 백탑파白塔派, 그 세 번째 이야기 백탑파 시리즈 3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 스포일러가 들어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책을 보실 분은 이 글을 읽어보지 않으심이 현명하실듯...**


드디어 '김탁환'의 『열하광인』(2007, 민음사)의 마지막 장을 읽음으로써, 일명 '왕과 나' 트릴로지(trilogy)를  완결지었다.'왕과 나'는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인 『열하광인』을 내놓기 전에 붙인 '가제'로 알고 있다.(2편인 '열녀문의 비밀'에서 언급되어 있다.) 가제인 '왕과 나'를 내리고 결국 '열하광인'으로 바꿔단모양인데 이 3부작을 마땅히 가리킬 말이 없어 내 임의대로 '왕과 나'라 가칭해본다.(KBS의 '왕과 나'라는 사극과는 별개이다.)

여기에서 '왕'은 곧 정조대왕을 가리키고, '나'는 왕의 종친이자 의금부 도사인 이 책의 주인공 '이명방'을 가리킨다. 그러니까 '왕과 나'는 의금부 도사의 미션수행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렇다고 단순히 암행어사와 관련된 것도 아니고, 정조와 이명방 중심으로 풀어가는 이야기도 아니다. 사실 3부작의 완결에 이르기까지 정조는 그 캐릭터가 뚜렷이 드러나있다고는 보지 않는다. 그냥 흐릿하다.

소설 읽어가는 눈높이를 시종일관 왕의 신하인 이명방의 눈높이에 맞추어서인지 정조는 그리 특색있게 나오지 않는다. 작가가 왕의 의중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놓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작가야 직접 인물들의 내면까지 들어다볼 수 있는 전지전능한 힘이 있음에도, 이 권한을 내려놓고 (작가가) 백탑파의 일원에게 논리적 성찰을 줌으로써 정조의 실체를 한꺼풀 덮어버린 듯 하다. 이 성찰은 이명방에게는 주어지지 않았다.

앞서 트릴로지라 언급했는데 이는 소설 자체보다는 소설을 그려내려한 작가의 노력과 공들인 시간에 대한 나의 칭찬이다. 3편의 이야기를 무려 6년에 걸쳐(2년마다 하나씩 내놓았다) 풀어놓았으니, 작가의 말대로 소설속 인물들도, 작가도, 독자도 모두다 같이 늙어갔다. 물론 외국에서야 이런 구성이 많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지극히 드물것이다. 그래서 작가의 공로를 높이 산다.

하지만 소설의 대미가 크게 와닿지 않아, 3부작의 완결이 그렇게 아쉬웠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다행인지조차도 모르겠다.

소설의 무게가 한 곳에 쏠리지 못한 느낌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소설의 큰 축은 4개로 구분지을 수 있을 것 같다. 이들 4개의 축중에서 이야기를 떠받치고 있는 '왕과 나'라는 축이 있겠다. 하나는 정조이고 나머지 하나는 이명방이다. 그리고 그 외 나머지 두개의 축은 노론이라는 축과 백탑파의 축으로 나뉠 것이다. 이야기는 흥미롭게 전개되기는 하나, 그 축에 쏠리는 중심은 사뭇 가볍다. 노론은 거의 등장하지도 않고, 오직 캐릭터들의 상상 저 너머에서 존재만 한다. 정조는 메시지를 던져주는 역할 만 하고, 이명방은 그 메시지를 전해주는 역할만 한다. 사건이 이명방을 따라 일어나기는 하지만, 사실 사건과는 독립적이다.(소설속에서 아무때나 죽어도 된다. 결말을 보니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이명방은 전체 스토리를 지배하고 있다. 좀 모순같기도. 이명방은 그냥 소설 속 장치일 뿐이다. 백탑파는 소설속에서 그 세력이 많이 약해진바, 백탑파는 단순 퀘스트일뿐이다. 주인공인 이명방을 성장시키는 미션수행이라는 의미이다. 그럼에도 사건해결은 이명방의 손을 빌리지도 않는다. 작가는 이명방의 행보에만 유독 스포트라이트를 비춰줌으로써, 독자에게 제대로 된 추리를 내리지 못하게 하고 계속 알쏭달쏭하게 만든다. 사실 별것 없는 사건이고, 추리이다.

모든 캐릭터는 대립관계도, 공생관계도 아닌 좀 흐지부지한 관계이다. 특히 대립관계가 매우 약한게 흠인 듯하다.

전지적 시점을 가지고 있는 '김진'이라는 인물은 모든 사건을 해결하는데에 가장 큰 공을 세우는 존재이다. 하지만 앞의 2부작보다는 다르게 이번 3편에서는 그의 등장과 활약이 부자연스럽다고 할까? 내용 초반부터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지 마치 작가의 강한 개입으로 뿐이 보이질 않는다. 물론 이야기에 활력을 불어넣고, 독자들의 몰입을 더 기대할 순 있게지만, 너무 '한방'이다. 김진의 노력이 보이질 않는다. 사건을 해결하는 인물은 김진인데, 화면은 김진을 비치지 않고 엉뚱한데를 비추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계속 이명방만 비춘다.) 독자가 화면밖을 의식하지 않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화면안에서 김진만을 애태우며 기다릴 수도 없다. 이야기의 구성이 조화롭지 못하고, 또한 임팩트가 분산되어버린다.

비록 김진이 사건을 해결은 하나, 역사를 배경으로 하였기에 모든 갈등이 해소되어지지는 않는다. 이 해소되지 않은 사건의 마무리는 결국 이명방이 짓긴한다. 이명방은 주인공이지만(사실 주인공인지조차 의심스럽다), 김진을 부각시키려는 장치일 뿐이고, 김진은 주인공은 아니지만, 작가 자신을 위한 장치(갈등부를 빠르게 수습시키려는 장치)임을 고려하면, 이 둘의 조화는 앞선 2편보다는 좀 더 못하다. 같은 공간을 점유하는 둘의 행보가 많은 부분 생략되어 있는 것이 아쉽다. 책의 분량도 사실 그 당시 조선의 배경이나 사상을 생각해서 보게끔 여유도 주지 않는다.

이 소설의 주제는 "군왕은 군왕의 편일 뿐이다" 라는 것인데, 군왕은 실종되어 있고, 결국 남는 것은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대한 소개만이 남는다.

이렇듯 많은 부분에 있어서, 특히 추리라는 장르적 부분과, 역사성이라는 서사적 구도가 매끄럽지 못해, 캐릭터들의 특성을 많은 부분 중화시키기는 하지만, 흥미를 이어가고 있기는 하다. 앞서 언급한 것들은 그 흥미를 조금 갉아먹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어차피 『열하광인』은 앞의 2편의 이야기들의 힘을 어느정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열하광인』을 독립적으로 보고 싶진 않다. 비록 '왕과 나' 트릴로지의 3부작의 마무리가 다소 미진하기는 하였으나 의미는 있다고 생각한다.

계속 궁금증이 일어나는 것이, 과연 몇 가지 에피소드를 가지고 한 시대의 풍경과 당시 인물들의 활약에 생명을 부여한 한국의 작가가 있는지 그것이 궁금하다. 나의 경우에 있어서 2006년부터 읽었지만, 그 전부터 읽어왔던 독자들은 나보다는 더욱 애정이 깊으리라는 생각이다.

작가에게 당부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이 시리즈의 (또다른) 시작을 장식하고 또 한국 소설계가 보여주고 있는 스펙트럼의 확장을 위해서라도 '화광 김진'의 가상인물을 바탕으로 한 '번외편'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 작가의 특별판이라 해도 좋다. (나만의 거창한 생각일지는 모르겠지만) 그렇다면 한국의 소설계와 작가 자신에게도 하나의 이정표가 되는 것이다.


<덧붙임>

1. 이 소설은 3부작이긴 하나 그 간극이 너무 떨어져 있다. 시간의 흐름이 너무 빠르다. 이는 분명 소설속 정조의 태도변화라는 중요한 역사적 배경을 (세가지 이야기만에) 도입시켰지만, 소설 속 양념으로 끝난 느낌이다. 그래서 그런지 소설의 마무리에서는 못다한 정조의 꿈을 정말로 꿈꾼 것 같이 만들어  '몽유소설 夢遊小說' 의 느낌을 받게 만들었다. 대단한 정치의 장이자 활극의 무대였던 그 당시 역사라는 공간을 밋밋하게 중화시켜 버렸다.

2. 다음 '김탁환'의 소설은 더욱 더 짜임새가 있었으면 한다. 재밌게 보았는데, 남는 게 그리 없다. 비록 추리소설이라고는 하지만...

3. 정말 '김진'의 활약을 바탕으로 한 조선판 홈즈도 나왔으면 한다.


4. 백탑파 그 첫번째 이야기에 대한 나의 리뷰(『방각본 살인사건』)

5. 백탑파 그 두번째 이야기에 대한 나의 리뷰(『열녀문의 비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