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의류는 ‘풍화작용’이라는 이중의 과정을 통해 바위에서 미네랄을 뽑아낸다. 먼저 스스로의 생장력으로 바위 표면에 물리적인 균열을 일으킨다. 그다음 강력한 산성 물질을 분비해 바위를 녹이고 미네랄 결합 물질을 분비해 바위를 소화시킨다. 풍화작용을 일으키는 능력 덕분에 지의류는 지질학적 힘의 하나가 되었고, 지구의 물리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 이상의 활동을 하고 있다.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멀린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kXcqXadZCvaN4pM49

지의류는 죽어서 분해되면 새로운 생태계의 첫 번째 토양을 만든다. 무생물인 바위 속 미네랄 덩어리가 생명체의 대사주기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은 지의류 덕분이다. 우리 몸속에 있는 미네랄의 일부는 어느 시점엔가 지의류를 거쳤다. 묘지의 비석에서든 남극의 화강암 석판 속에서든, 지의류는 생물과 무생물을 가르는 경계선을 왔다갔다 넘나든다.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멀린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R618pfJnWALh9QWL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버섯은 열매다. 씨앗이 심어진 자리에서 자라나 포도를 생산하는 포도나무를 상상해보자. 그리고 그 지표면 아래 땅속에서 서로 꼬이고 갈라지며 그 포도나무를 지탱하는 뿌리의 덩굴을 상상해보자. 포도나무의 열매인 포도와 포도나무 뿌리의 덩굴은 서로 다른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버섯을 잘라보면 버섯과 균사체, 즉 균사 전체의 세포는 같은 유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멀린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FJKfP2yNbspk7ATD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버섯은 균사네트워크의 자실체다




트러플은 몇 종류의 균근 곰팡이가 땅속에서 키워내는 자실체다. 트러플은 토양에서 흡수한 영양분과 식물의 뿌리에서 흡수한 당분으로 생명을 유지하면서 연중 대부분을 균사 네트워크로 존재한다. 그러나 땅속이라는 서식 환경이 트러플에게는 근본적으로 문제가 된다. 식물이 씨앗을 만들어내듯이 트러플은 포자를 만들어내는 유기체다. 포자는 곰팡이가 널리 퍼져나갈 수 있도록 진화했지만, 땅속에서는 포자가 바람에 실려 갈 수도 동물의 눈에 뜨일 수도 없다.1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멀린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38CSVgNfjqBK7mxC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부분의 식물은 토양으로부터 인, 질소 등의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곰팡이에 신세를 지는 대신, 광합성 ― 식물은 이 과정에서 햇빛과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 을 통해 만들어낸 에너지원인 당분과 지질을 곰팡이에게 내준다. 식물과 곰팡이의 관계가 지금의 생태계를 만들었고, 오늘날까지 땅 위의 생명들을 지탱해왔다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멀린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tYb173Tex4y5kzeU6

우리는 미생물의 생태로 이루어진, 그리고 분해되는 생태계이며, 그 의미는 최근 들어서야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우리의 몸 안과 표면에 사는 4조 개 이상의 미생물 덕분에 우리는 음식을 소화시키고 우리 몸에 자양분이 되는 필수 미네랄을 생성할 수 있다. 식물의 내부에 사는 곰팡이처럼, 미생물은 우리를 질병으로부터 보호해주기도 한다. 미생물은 우리 몸의 발육과 면역 시스템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우리의 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멀린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h7Dm8kRLxWNrqCpQ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주정 국가인 미국의 선거에서 현재 ‘패자의 동의’[진 쪽의 승복]가 사라졌는데, 패자의 동의 없이는 어떤 민주정도 기능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