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동아시아 은 교역망


당시 중국의 최대 안보 위협은 몽골이 버티고 있는 북방이었다. 수도 베이징은 만리장성 바로 아래에 있었고, 과거 몽골에 실제로 지배당한 적도 있었기에 북방을 방비하는 데 세금의 상당량을 투입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와중에 남쪽의 해양 진출에 계속해서 대규모 예산을 편성하기란 어려웠다. 또한 포르투갈이나스페인에게 해양 진출이 나라를 살리기 위한 간절한 돌파구였다면, 중국에게 해양 진출은 꼭 필요한 일이 아니었다. 중국은 자급자족이 가능한 나라였기 때문이다. 정화의 대원정도 굳이 따지면 명나라의 위상을 위한 과시용에 가까웠다.

(중국) 북방의 긴장은 중국의 은을 빨아들이는 블랙홀 같았다. 전국에서 은이 부족해졌고, 남쪽 해안에서는 은의 밀무역이 성행했다. 중국에서는 금과 은의 교환 비율이 1대 6이었지만, 일본에서는 1대 12였다. 즉 일본은 은이 훨씬 쌌다. 중국의 절반 가격이었다. 

그래서 스페인이나 포르투갈 무역상들은 일본에서 은을 사서 중국에서 금과 교환하는 방식으로 막대한 시세 차익을 남길 수 있었다. 이를 본 일본도 밀무역에 나섰다. 16세기 후반 중국으로 유입된 은은 2,100~2,300톤 정도인데 일본산 은이 1,200-1,300톤 정도였다고 한다. 이익이 짭짤했으니 위험을 무릅쓸 여건이 만들어진 것이다. - P244



조선에서 탄생한 연은분리법이 일본으로 넘어간 것이 1533년이다. 5년 뒤 일본은 조선 정부와 거래할 무역품으로 은철 315근을 가져왔다. 기록상 일본이 무역품으로 은을 가져온 것은 이때가 최초다. 그만큼 은이 풍부해진 것이다. 이후 일본은 은을 대규모로 조선으로 가져와 거래했는데, 얼마나 많이 유통이 되었는지 조선의 은 가격이 폭락했다. 1538년 은 1냥 당 면포 4필이던 것이 4년 뒤인 1542년에는 은 1냥 당 면포 반 필로 그 가치가 8분의 1로 뚝 떨어졌다.

이렇게 조선으로 들어온 은은 다시 조선의 대중국 무역 자금으로 이용되었다. 세계 2위의 생산량을 자랑하던 이와미 은광의 막대한 은이 조선을 거쳐 중국으로 들어가면서 동아시아 무역에 활기를 불어넣은 것이다. 그것을 촉발한 것은 조선의 노비와 양인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4세기 한랭화와 해금정책



한편 명나라의 해금 정책으로 인해 가장 피해를 본 이들은 해상 무역 세력이었다. 그래서 명나라 초기 해안을 침략한 왜구도 해금 정책에 반발한 해상 무역 세력으로 볼 수 있다. 일부 중국인 무역상들이 왜구에 가담했다는 것도 역사적 사실이다.

하나 덧붙이자면 명나라가 상업이나 무역을 억누르고 농업을 장려하는 쪽으로 회귀한 데에는 그럴 만한 사정이 있었다.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1368년)한 14세기 후반은 한랭기의 충격이 수십 년간 쌓인 때였다. 그렇기 때문에 급선무는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서는 농업 생산성을 회복해야 했다. 그러니 백성들이 도시로 몰려들어 점포에서 주판을 잡기보다는 시골의 농지로 돌아가 호미와 괭이를 들기를 바랐을 것이다. 

비슷한 시기 개국한 조선도 비슷한 정책을 폈다. 어떤 학자들은 조선의 수도가 개경에서 남쪽인 한양으로 이동한 것이 삼남(충청·전라·경상) 지역의 식량 생산성이 더욱 중요해졌기 때문이라고도 본다.
한랭화로 인해 황해도나 평안도, 경기 북부에서는 이전보다 쌀농사를 짓기 어려워졌을 것이다. 그렇다면 식량 생산은 남쪽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고려 말 왜구의 침략으로 식량 생산지와 수도의 거리를 더욱 좁힐 필요도 있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명나라와 조선의 중농억상정책은 원나라와 고려에 대한 부정일 수도 있지만, 기후가 만든 불가피한 선택이기도 했다. 인류 문명은 결국 기후와 얼마나 친숙해지느냐에 흥망이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익점이 목화씨를 들여온 것이 고려 말인 이유도 기후 영향이 컸다. 최근 지적되고 있지만 원나라는 목화씨 반출을 막은 적이 없다. 그런데도 굳이 이때 목화씨를 고려로 들여온 것은 백성들이 추운 기후에 적응하려면 더 따뜻한 소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부 회사는 담배와 전자담배 산업 회사들처럼 행동하는데, 자사 제품을 중독성이 매우 강한 형태로 설계한 뒤 미성년자 대상 마케팅을 제한하는 법을 요리조리 피해가려고 한다. 이 회사들의 행태는 유연 가솔린 사용 금지에 저항한 석유 회사들의 행태에 비교할 수 있다. 20세기 중엽에 미국에서 자동차 배기가스를 통해 대기 중으로 유입되는 납이 매년 수십만 톤에 이르며, 이것이 수천만 아동의 뇌 발달에 지장을 초래해 인지 발달을 저해하고 반사회적 행동 발생률을 높인다는 증거가 쌓이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유 회사들은 계속 유연 가솔린을 생산하고 마케팅하고 판매했다.8 - <불안 세대>, 조너선 하이트 지음 / 이충호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Q78WEEBLbKB5o1aaA

뇌에서 보상을 추구하는 부분은 일찍 발달하는 반면에, 전두 피질(자기 통제와 만족 지연, 유혹에 대한 저항에 필수적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은 이십대 중반이 되어야 완전히 발달하며, 사춘기 직전의 아동은 발달 과정에서 특히 취약한 시기에 있다. 사춘기가 시작되면 특히 사회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는 경우가 많은데, 또래 압력에 쉽사리 휩쓸리고 사회적 인정을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는 행동에 쉽게 유혹을 느낀다 - <불안 세대>, 조너선 하이트 지음 / 이충호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QpPm1muVisWf8m579

이 책은 밀레니얼 세대(1981~1995년에 태어난) 다음 세대인 1996년 이후에 태어난 세대,9 이른바 Z 세대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들려준다. - <불안 세대>, 조너선 하이트 지음 / 이충호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J3YPUKGtbfVFNWVj8

Z 세대는 급진적인 새로운 성장 방식, 즉 인류가 진화한 소규모 공동체의 현실 세계 상호 작용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성장하는 방식을 시험하는 대상이다. 이것을 ‘아동기 대재편Great Rewiring of Childhood’이라고 부르기로 하자. 이것은 마치 이들이 화성에서 성장하는 첫 세대가 된 것과 비슷하다. - <불안 세대>, 조너선 하이트 지음 / 이충호 옮김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ifyaiukwhjUtcpME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두를 위한 생물학 강의 - 우리를 둘러싼 아름답고 위대한 세계
사라시나 이사오 지음, 이진원 옮김 / 까치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물이 에너지를 얻는 것은 장작을 태워 열에너지를 얻는 것과 비슷하다.
생물은 유기물을 섭취하고 산소호흡을 통해 유기물의 탄소를 에너지로 전환한다.
탄소에 산소를 결합하는데 이 과정은 산화다.

식물은 정반대 활동을 한다.
태양 빛 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환원하여 탄소를 얻는다. 부산물로 산소를 발생시킨다. 환원이란 산소를 떼내는 것이고 원자 수준에선 전자를 받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혐기성 세균과 호기성 세균의 공생, 세포의 탄생



원핵생물밖에 없던 시절 대부분의 세균은 혐기성 세균이었다. 혐기성이란 ‘공기를 혐오하는 성질’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공기는 산소를 뜻한다. 즉 혐기성 세균은 산소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발효를 통해 에너지를 얻는데, 발효는 산소호흡보다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다. 나는 원래 호기성 고세균이었다. 호기성이란 ‘공기, 즉 산소를 좋아하는 성질’이라는 뜻이다. 호기성 고세균은 산소호흡을 하기 때문에 높은 효율로 에너지를 생산한다. 발효가 2개의 생활에너지ATP를 생산할 때 산소호흡은 32개의 생활에너지를 생산한다. - <찬란한 멸종>, 이정모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J7mN62GfZu21EcYQ8

혐기성 세균이 호기성 고세균을 곁에 두는 것은 결코 나쁜 일이 아니었다. 산소는 혐기성 세균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는 도움도 되지 않으면서 유전자와 단백질을 파괴하고는 한다. 그런데 호기성 고세균이 곁에 있으면 그들이 산소를 처리해 주니까 생존에 유리했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자원이 별로 없을 때는 곁에 있는 호기성 고세균을 삼켜 먹기도 했다. 일단 배를 곯을 수는 없으니까 말이다. - <찬란한 멸종>, 이정모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mXHGqN15cCczRpUX8

역사가 시작된 날은 바로 그날이었다. 그날도 혐기성 세균 하나가 굶주림을 참지 못하고 호기성 고세균 몇 마리를 꿀꺽 삼켰다. 그런데 웬걸! 호기성 고세균이 소화되지 않았다. 삼킨 호기성 고세균은 혐기성 세균 안에서 함께 살게 되었다. 이 사건은 모두에게 이익이 되었다. 혐기성 세균은 높은 산소 농도 환경에서도 자기 안의 호기성 고세균이 산소를 처리해 주어서 안전했으며 호기성 고세균이 만든 풍부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호기성 세균 역시 생존을 위한 여러 작용은 혐기성 세균에게 떠맡긴 채 자신은 에너지 생산에만 집중하면 되니 이득이었다. 혐기성 세균과 호기성 고세균의 공생이 시작된 것이다. 호기성 고세균은 혐기성 세균에 들어가면서 미토콘드리아로 이름을 바꿨다 - <찬란한 멸종>, 이정모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wu3R4yCoH7sUgYAK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