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 편 가르기 시대 휘둘리지 않는 유권자를 위한 정당정치 안내서
에즈라 클라인 지음, 황성연 옮김 / 윌북 / 2022년 6월
평점 :
클린턴이 『무슨 일이 있었나』를 쓴 것도 바로 이 굴욕감 때문이었다. 클린턴은 어떻게 트럼프의 승리가 가능했는지 설명하려고 했다. 클린턴은 면죄부를 찾으려 했지만, 명확한 답은 없고 혼란스러움은 가시질 않는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dmULgYiLFrVGRwhL7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제대로 된 질문이 아니라 쉬운 질문을 던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트럼프가 어떻게 이겼는지를 묻는 대신 트럼프가 어떻게 승리에 가까이 다가갔는지를 물어야 한다. 애초에 트럼프와 같은, 자신이 대표하는 정당을 멸시하고 자신이 앉고자 하는 직책과는 어울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 후보가 어떻게 해서 대통령을 뽑는 중요한 선거에서 수천 표 이상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일까?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z2hURrFki2mMjDt16
숫자로만 보면 2016년 대선은 공화당과 민주당 사이의 전형적인 경쟁이었다.
유권자들이 트럼프를 다른 공화당 후보처럼 대했다는 사실은 정당 양극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준다. 극심한 양극화는 2016년 선거를 2012년 롬니와 오바마 사이의 경쟁이나 2004년 케리와 부시 사이의 경쟁과 같은 것으로 만들어버렸다. 정치적 정체성이 너무 강해서 사실상 마음을 바꿀 만한 어떤 후보도, 정보도, 조건도 없었던 셈이다. 우리는 우리 편에게 도움이 된다면 그게 뭐가 됐든 거의 모든 것을 정당화할 것이고, 그 결과는 기준, 신념, 책임감 없는 정치다. -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 밀리의서재
https://millie.page.link/aT24xgnt2jYNzBEp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