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1 메피스토(Mephisto) 13
더글러스 애덤스 지음, 김선형 외 옮김 / 책세상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라는 항목이 없잖아!˝ 그가 버럭 소리를 질렀다.
포드가 어깨 너머로 들여다봤다.
˝아니야, 있어. 저기 있잖아. 스크린 아래쪽을 봐. 에로티콘 제6행성의 가슴 셋 달린 창녀 엑센트리카 갈룸비츠 항목 바로 위에 말이야:˝
아서는 포드의 손가락을 따라가 그것이 가리키는 곳을 봤다. 잠시 동안 그는 여전히 상황을 파악하지 못했지만, 다음 순간 거의 폭발 직전의 심정이 됐다.
˝뭐라고? ‘무해함 ? 그게 다야? ‘무해함 ! 단 한 마디뿐이라니!˝
포드가 어깨를 으쪽했다.
˝음, 은하계에는 천억 개의 별이 있어. 그리고 이 책의 메모리칩에는 한계가 있지.” 그가 말했다. ˝게다가 지구에 대해 많이 아는 사람도 물론 없었고 말이야.˝
˝좋아, 제발이지, 네가 그걸 좀 개정해줬으면 해.˝
˝아, 물론이야.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나는 편집자에게 새로운 내용을 전송했어. 편집자가 좀 다듬긴 했지만, 그래도 어쨌든 개선이 됐어.˝
˝그래서 지금은 뭐라고 되어 있는데?˝ 아서가 물었다.
‘대체로 무해함 .˝ 포드가 다소 당황한 듯 헛기침을 하며 고백했다.
˝대체로 무해함 이라고!˝ 아서가 고함을 질렀다. <은하수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트남 전쟁과 주변국의 경제 성장


미국의 개발도상국 동맹국 중 베트남 주변의 타이와 필리핀이 파병에 동참했고, 한국은 동맹국 중 가장 큰 규모의 전투부대를 파병해준 상태였다. 미국의 가장 중요한 동맹국이던 영국이나 프랑스가 파병을 외면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파병 요청을 수용한 이들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수출 확대와 군수품 조달 요구를 외면할 수 없었던 것이 존슨 행정부의 사정이었다.

필리핀은 1965년부터 1970년 사이 매년 5퍼센트 넘는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고, 타이의 경우 1965년부터 1969년 사이 실질 경제 성장률이 12퍼센트에 달했다. 파병을 하지 않았던 타이완도 1964년부터 1973년 사이 11.1퍼센트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고, 1967년부터 1971년 사이 한국의 성장률은 9.6퍼센트였다. 한국의 경우 1969년부터 부실기업 문제에 부딪혔던 점을 고려한다면, 닉슨 행정부의 긴축 정책이 시작되기 이전인 1967년과 1968년 집중적으로 경제 성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 <베트남 전쟁>, 박태균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PjuckyWwYTJYedVk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스토우!!

북베트남 폭격을 통해 베트남전쟁 확전을 주장한 사람은 존슨 대통령의 안보담당 고문이었던 월트 로스토Walt Rostow였다. 그는 도약 이론을 통해서 부패하고 전근대적인 정부의 개혁만이 제3세계에서 공산주의로부터 자유세계를 지킬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라고 주장했다.

한국은 그 대표적인 케이스였지만, 로스토가 가장 정성을 쏟았던 베트남에서의 전략은 실패했다. 로스토가 했어야 할 일은 북폭이 아니라 남베트남 정부와 사회를 개혁함으로써 남베트남 사람들의 마음을 돌리는 것이었다. 그의 책 《제안A Proposal》에서 스스로 주장한 것과 같이 미국은 개발도상국에서 개혁을 통해 민심을 돌릴 수 있도록 원조해야 하지만, 불가능할 경우 포기해야 했다. 로스토는 스스로 군사적 개입이 미국의 ‘소프트 파워’를 깎아먹고 있다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서는 스스로의 경고를 망각했다. - <베트남 전쟁>, 박태균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Kgzy7nzRdYiGcAMv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착시현상


착시현상이 나타났다. 중국 국민당의 부패로 인해 중국을 포기했던 미국이었지만, 부패와 독재 속에서도 공산주의로부터 한국을 지켜냈던 이승만 정부와 박정희 정부를 보면서 베트남에서도 동일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박정희 정부의 변신을 무난하게 이끌었던 새뮤얼 버거 주한 미국대사를 베트남으로 배치했던 것도 그 때문이었다. 버거 대사는 5·16 쿠데타로부터 민정 이양, 그리고 경제개발 계획의 실행으로 이어졌던 한국의 경험을 베트남에 이식하려고 했다. 물론 부패의 상징이었던 타이완의 장제스 정부의 건재 역시 미국의 오판에 중요한 근거가 됐을 가능성이 있다. - <베트남 전쟁>, 박태균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VJ2v4gzjb6DizPHV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과 일본은 왜 베트남 전쟁에 개입했나


동남아시아 시장의 축소는 미국에도 중요한 문제였지만, 아시아에서 미국의 가장 믿음직한 파트너였던 일본에게는 더욱 민감한 문제였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중국 시장에 접근할 수 없었던 일본에게는 새로운 시장이 필요했고, 동남아시아는 일본 경제의 부흥을 위한 가장 중요한 배후지였다. 일본이 35년간 지배했던 한반도에 대해서는 배상하지 않으면서 5년 남짓 점령했던 동남아시아 지역에 배상금을 준 것은 이러한 정책 때문이었다. - <베트남 전쟁>, 박태균 지음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EoQcCJUSyZZX9GVK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