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멕시코, 브라질의 도시 빈민굴은 농업의 규모의 경제 신화와 자유로운 농지거래의 결과다.

엘리시움에서 본 빈민굴은 충격을 잊을 수 잆다

구유럽에서 전통적인 농업사회가 근현대적 공업화와 도시화의 전환을 겪는 과정에서, 종주국은 자신의 잉여 인구와 빈곤 인구 및 범죄자들을 외부로 대규모 이주시켰고, 그럼으로써 식민지와 반식민지의 자원을 약탈했다. 이 과정에서 본국의 인구와 토지와 자원 사이의 모순이 완화되었고, 공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전환에 따른 여러 부담도 더불어 완화되었다. 그리고 현대적 정치경제 제도를 건설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만들어졌다.

주로 유럽에서 온 이주민들이 새로 세운 식민지 국가는 해당 지역의 토착민들을 대규모로 학살하고 나머지 땅들을 전부 보류지로 점거함으로써 광활한 토지와 천연자원을 독점했기 때문에, 여전히 토착민 인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가(중국이나 인도)에 비해 그 내부적 모순이 상대적으로 훨씬 덜했다.

유럽 국가들이 대규모로 식민지화를 추진하던 수백 년 동안 서구의 공업화에 따른 제도의 비용은 내부에서 외부로 전가되었고, 자원은 외부에서 내부로 이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구유럽 국가들은 오늘날 중국이나 기타 제3세계 국가들을 장기간 괴롭혀온 삼농 문제를 피할 수 있었다. - P202



객관적으로 ‘시야를 전 세계에 둔다면‘, 세계에서 불과 10개를 넘지 않는 대농업 국가들만이 토지의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농업에서 규모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발견하게 될것이다. 그 국가들은 거의 전부가 식민지화 과정 중에 해당 지역의 토착민을 대규모로 학살하고 농지를 개척한 경우이다. 

그 경우를 제외한 구유럽의 선진국들은 이미 수백 년의 시장화 경험을 가지고 있지만, 교과서에 실려 있는 ‘규모의 경제‘를 농업에서 실현한 경우는전혀 없고, 지금까지도 여전히 소농장 위주이거나, 3분의 2의 농업경영자가 여전히 겸업을 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산업화 국가와 지역가운데 한국과 일본 및 타이완은 중국보다 앞서 온전한 시장경제의 단계로 접어들었는데, 농업은 지금까지 여전히 소농경제 위주이다. - P203

서구의 이론에 따라 ‘토지 사유화+시장화전환‘을 실행한 결과는 예외 없이 빈부의 양극화, 농촌 빈곤지역에서의 게릴라전, 도시 빈민굴의 범죄조직 만연, 그리고 심지어 테러리즘으로의 경도였다. - P2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