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긴이의 요약이 본문보다 더 통찰력 있다!


모든 것을 흡수하는 제국 바로 옆 한반도에서 ‘민족‘이 형성된 것은 그야말로 놀라운 사건이었다. 하지만 베스타는 청 제국도 조선도 각자의 입장을 어느 정도 양해하면서, 청 제국을 중심으로 하는 질서가 안정적으로작동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청 제국이 19세기 중반부터 흔들리기 시작할때에도 조선은 청 제국으로부터의 이탈보다는 밀착을 선택했다. 

하지만 이때에도 일본이 변수로 작동했다. 지금까지 조선이 청 제국 아래 누려왔던 자주는 사대주의로 비판받았고, 일본은 조선에게 청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강요했다.

 하지만 조선의 독립을 주장했던 일본은 제국주의화하면서 한반도를 병합했고, 이는 한반도의 민족 개념이 강렬한 민족주의‘로변환하는 계기가 된다.

문제는 한반도와 중국에서 모두 민족주의적 시각이 강해지면서 저자가 다룬 시기의 복합 주권과 복합 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졌다는 사실이다.  - P218

한반도는 중국 제국 옆에서 사대를 통한 ‘자주‘를 오랫동안 지켜왔다.

중국 제국이 흔들리자 한반도는 짧은 독립을 누리다가, 나라를 잃었고 중국과 마찬가지로 국민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오랜 길을 걸어야만 했다. 가까스로 얻어낸 ‘독립‘이기에 우리에게 자주독립은 매우 소중한 가치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자주독립의 세계관 안에서 제국과 공존해왔던 역사적 사실을 직시하기란 쉽지 않다. 

중국이 단순한 강대국이 아니라, 포용력있는 제국이 되기 위해서도 한반도에 살고 있는 우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 P2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