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덧 일 주일 - 제9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전수찬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6월
평점 :
품절
이 소설에는 불행하게 보이는 사람이 많이 등장합니다. 그들의 불행의 원인은 '소통의 부재'에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 불행은 주인공들 자신의 처지에서 드러나기 보다는 주인공이 호기심인지 관심인지의 시선으로 지켜보았던 주변 인물을 통해서 드러납니다. 그들은 미쳐버렸거나 견디지 못 하고 죽어버렸습니다. 주인공은 아직 불행에 몸 담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금방 닫쳐올 불행을 예감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아무도 주인공의 사적인 생활을 자세히 모르고 그래서 개입하지 않지만 곧 주인공의 일방적인 자기 세계는 깨어질 것입니다. 이 소설은 어느 심사위원의 표현처럼 상쾌하게 다가오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런 일방적인 생각으로 구축된 인물의 세계란 결국 유예된 시간 속의 세계일뿐이니까요. 인물이 불행과 불행 사이에서 잠시 휴가같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것을 느끼는 독자의 시선에는 그 한가로움이 무지의 소산인 것 같습니다. 주인공도 전혀 모르는 것은 아닙니다. 그 입을 통해서도 미루고 있는 시간의 불안감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요.
‘어떤 때에는 내 생각이라는 것들이 세상 사람들에게는 조소를 일으길 만큼 우스운 것이어서 적당한 때가 되면 한 번에 무너지고 말 거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것은 아주 막연하고도 깊은 공포였다. 언젠가 꼭 찾아올 것만 같은 그런 것이었다....언젠가, 때가 되면 불행한 일이 찾아올 것이다.’
이 폭력적인 세계에서 미치거나 죽지 않고 주인공과 그의 연인은 어떻게 소통하는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가, 그런 것을 다루어야 하지 않을까요? 이미 전경린 같은 작가가 이 소재와 관련해서는 문을 통과한 것 같은데, 이 작품은 오히려 그 이전의 고요한 행복감을 ‘가벼이’ 다루고 있습니다.
심사위원들이 문학동네 작가상에 대해 갖고 있는 기준이 형식의 새로움이나 내용의 참신함이라면 그 기준은 선발된 작품에 의해 검증되어야 하고 또, 기준에 강박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닌지도 고민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