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원의 집
로라 잉걸스 와일더 / 대교출판 / 1994년 8월
평점 :
절판
역시 난 동화 체질인 모양. 로라네 가족의 위스콘신 큰숲 시절부터 정착과 결혼까지...드라마로 봤던 전반부의 기억이 쏠쏠히 살아나서 더 재미가 있었던듯.미국인들의 청교도 정신이며 개척정신, 그리고 가족애 등에 대한 감탄을 하는 동시에 예전에 느끼지 못했던 인디언에 대한 그들의 편견에 대한 것도 다시 한번 발견할 수 있었다.
비교적 공정한 태도를 가지려고 노력했던 것으로 보이는 로라의 아버지 찰스 잉겔스의 시각이 곳곳에 드러나긴 했으니 그 기조는 결국 미국 대륙은 백인들을 위한 땅이라는 주장이 깔린...점점 삐딱이가 되어 가는지 후크나 늑대와 춤을 같은 영화를 봐도 그런게 자꾸 보임. (이번 동계 올림픽 때문에 더더욱... 그들의 눈에 우리나 인디언이나 다를게 전혀 없으니. 오히려 더 밑이면 몰라도)어쨌건 책이란건 작가들 경험의 소산임은 틀림없는듯 싶다.
똑같은 여자가 쓴 책들임에도 불구하고 손에 직접 물을 묻히거나 부엌에 들어갈 필요가 없었던 맨스필드며 제인 오스틴의 책은 연애나 사교, 우아한 차모임에서의 대화나 문화생활 등 여유로운 중산층 여성들이 가질 수 있었던 경험담이 곳곳에 드러나는 반면 가정주부로서 가사일에 종사했던 몽고메리나 이 로라 잉겔스 와일더가 쓴 책은 곳곳에 서민 가정의 일상과 노동 그리고 요리에 대한 얘기들이 주를 이루고 나타난다.
비교 대상이 적어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이게 구대륙과 신대륙의 차이일 수도 있겠지.덕분에 빨강머리 앤을 읽을 때와 마찬가지로 어제 오늘도 내내 정향과 육두구를 박아 구워낸 햄덩어리며 소세지, 치킨 파이, 사워 크림을 끼얹은 감자 등이 눈에 아른아른. 세월이 아주 아주 흐른 뒤에는 누군가가 미국 개척시대 서민들의 음식이나 생활사를 연구할 때 과제로 써도 충분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 문학은 그가 살았던 시대를 반영하는 동시에 시대를 뛰어넘는 보편적인 가치를 가진다는 얘기를 누군가 했는데... 이 책은 잔잔한 감정적 기쁨과 함께 가치가 있다면 정교한 시대 묘사가 아닐까 싶다.초원의 집 처음부터 다시 해주면 좋겠다. 케이블에서 케케묵은 옛날 드라마 시리즈들 먼지 털어 많이도 해주더만 이건 왜 안해주나 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