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여름, 시립 미술관 샤갈 전시회장 옆에
천경자 화가의 그림을 전시하는 갤러리가
작은 골목길 처럼 붙어 있었다.
어마어마한 그림들을 보고 나온 후여서 그랬는지
인파에 시달렸기 때문인지 조금 현기증이 났다.
휴식공간에 들어선듯,
천경자 화가의 그림이 걸려 있는 갤러리는 편안했다.
주최측에서 쉬어가라는 메모지를 건네 받은 것처럼
그 작은 갤러리에 걸린 그림들은
강렬한 색을 입고 있는데도 고요한 기운이 감돌았다.
아주 오래전, 6,70년대 뉴욕의 풍경,
이방인의 눈으로 스케치한 세계의 도시들...
연습장에 휙 그려낸 것 같은 그림들...
그녀는 가는 곳마다 그림을 그렸구나 싶어서
나는 그 마음도 참 부러웠더랬다.
내 맘에 쏙 들었던 것은 모델하우스처럼 만들어 놓은
천경자 화가의 방이었다.
그림을 그릴 때 입는 작업복과 널려 있는 붓, 팔레트, 물감은
금방이라도 화가가 그림을 그려낼 수 있을 것 처럼
생기 충만이었다.
희미하게 천경자의 실루엣이 보이는 것도 같았지, 아마...
친정 엄마가 쓰시는 아주 오래된 사기그릇의 모양과 닮은
그릇은 화가에게는 물감을 짜서 쓰는 용도였다.
실감나게 하기 위해 짜놓은 물감인데도
한참동안 그 유리방을 들여다보니
화가의 열정이란 물감을 짜는 순간마다
막 직조한 옷감을 입듯 살아나겠구나 싶었다.
같은 그릇이지만, 그릇에 담는 내용물이 다른 인생.
저 높은 우주에서 바라보면 인생의 작은 알갱이는 보이지 않을거다.
사람은 보이지 않고 사람이 살고 있을거라 짐작되는
터전만 보일게 뻔하다.
타인의 시선도 내게 그러지 않을까.
타인의 짐작은 두렵다.
고독한 시간을 화폭에 담아내던 화가는
자신만의 꽃을 들고 키우는 개와 산책을 나선다.
세상의 시간과 다른 시간을 걷고 있는 화가에게는
자신의 외로운 두 발을 꽃에 파묻는다.
고독을 들키고 싶지 않다.
화가가 꽃을 들고 있는 까닭이다.
내가 만들어낸 예술 작품은 기꺼이 보여주지만,
내가 살았던 고독의 시간은 들키고 싶지 않은 사람, 예술가다.